저소득 근로자의 영유아 교육을 담당하는 보육시설의 정부보조가 해마다 축소돼 당초의 취지를 잃고 있다.
당초 새마을유아원으로 설립됐을 때는 정부가 인건비 전액을 보조해주었기에 학부모들은 단돈 몇천원으로 자녀교육을 해결할 수 있었다. 그러다 보조비율이 점차 축소되더니 90년 어린이집으로 전환된 후에는 운영비의 40% 선으로 떨어졌다. 당연히 보육료는 설립 당시보다 10배 이상 인상돼 저소득 근로자의 교육비 부담을 가중시켰다.
결국 가정형편이 어려워 보육비를 몇달씩 못 내기도 하는 학부모들이 급증했다. 급기야는 밀린 보육비를 갚지 못한 채 중도포기하는 경우마저 속출하고 있다.
슬기로운 사람은 어려울 때 오히려 미래를 위한 준비를 한다. 물론 국제통화기금(IMF) 한파로 사정이 몹시 어렵다. 하지만 저소득 근로자의 영유아 교육에 정부보조를 확대해 21세기의 주인공인 새싹들을 육성하는 데 힘써 미래를 준비하기 바란다.
전학순(충북 청주시 흥덕구 개신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