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한파로 부산지역의 주요 사업중 상당수가 대폭 축소되거나 사업추진이 불투명해질 전망이다.
부산시가 6천7백억원을 들여 2001년까지 조성할 계획인 해운대구 우동 부산정보단지 개발사업의 경우 대주주로 참여한 선경그룹이 지난해말 사업참여 포기의사를 밝혔다.
이에 따라 시는 현대와 삼성 등 대기업을 대상으로 투자유치활동을 벌이는 한편 공영개발방식을 검토하고 있으나 별다른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
시와 부산해양수산청이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영도구 동삼동 부산해양종합공원(마린토피아) 개발사업도 IMF체제 이후 참여희망 업체가 없어 사업추진이 불투명한 실정이다.
수영구에서 추진하고 있는 광안리종합개발계획과 연제구의 구청 신청사 건립사업, 사하구의 홍티마을앞 공유수면 매립사업 등도 투자자가 나서지 않기는 마찬가지다. 또 정부의 긴축재정 방침에다 1조3천억원에 달하는 지방세가 세목별로 20∼50% 감소할 것으로 예상돼 부산지역의 관급공사 물량이 대폭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부산의 대역사중 하나인 광안대로 건설사업의 경우 1천5백20억원의 올해 사업비중 6백26억원만 확보될 것으로 보여 공기 지연이 불가피, 2000년 완공계획을 지키기 어려울 것으로 우려된다.
중앙부처 사업인 지하철 2,3호선 건설공사도 올해 사업비가 대폭 삭감될 것으로 보여 공사차질이 예상된다. 지하철 2호선 2단계(부산진구 서면∼해운대구중동·16.7㎞)의 경우 10개 공구중 3개 공구가 시공업체와 하청업체의 재정난 및 부도사태로 공사가 중단된 상태다.
〈부산〓조용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