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남]경남 도시군정 통신원제 「선거용」논란

  • 입력 1998년 1월 31일 09시 18분


경남도가 다음달 중 도내 택시운전사의 20%인 2천2백33명을 대상으로 ‘도 및 시군정 통신원제’를 운영키로 한데 대해 논란이 일고 있다. 취지는 크게 흠잡을 데가 없지만 시행 방법과 실효성 여부에는 고개를 갸우뚱거리는 사람이 많다. 도 관계자는 “도민의 여론수렴과 불편사항에 대한 조기신고, 조속한 대응체계의 구축이 통신원제 도입의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통신원들은 △화재나 대형 교통사고 등 재난 신고 △공사장과 도로파손 등 위험시설 신고 △상수도 누수 등 공공시설 파손 신고와 함께 승객과의 대화를 통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는 게 부여된 임무. 도는 이들에게 위촉장을 주고 차량에 ‘도 및 시군정 통신원 차량’이라는 황색 바탕의 스티커를 부착하는 한편 우수 통신원에게는 표창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행정관청이 택시운전사에게서 사고나 시설물의 파손을 신고받아 이를 빠르게 처리한다면 도민들로서는 반길 일이다. 그러나 통신수단의 발달로 사건 사고들은 특정인에게 떠맡기지 않아도 신속하게 접수되고 있다. 사고의 원활한 처리는 오래 전부터 당국에서 얼마나 성의를 가지느냐의 문제였다. 또 ‘도지사 이동 집무실’‘시 군정 보고회’‘직소 민원실’ 등을 통해 끊임없이 해온 여론수렴을, 그 전달과정에서 정확성을 보장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생업에도 바쁜 운전사에게 떠맡기는 데는 어색한 측면이 있다. 게다가 적지 않은 인원에게 위촉장과 스티커를 만들어 주면서 교육을 시키고 표창을 하는 행정 행위는 오는 5월 지방선거와 무관치 않다는 여론이 지배적이다. 〈창원〓강정훈기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