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K치과의원엔 잠자면서 이를 갈아 치통이 생긴 환자가 하루 2,3명씩 찾아온다. IMF체제 이전에는 이런 환자가 거의 없었다. 이를 갈면 치아 아래 윗면이 닳아 세균이 번식하기 쉽고 턱관절에 무리가 와 구강질환이 생긴다. 특히 ‘참을 일’이 많아서인지 이를 꽉 물고 근무한 탓에 턱관절 이상을 호소하는 사람도 늘었다. 스트레스는 치통의 직접적 원인이 되기도 한다.
연세대치대 구강생물학과 박광균교수는 “스트레스를 받거나 과로하면 뇌에서 ‘카테콜라민’ 호르몬을 방출하는데 이것이 구강조직의 혈관을 수축, 영양과 산소의 공급을 방해해 염증을 일으킨다”고 말했다. 또 몸의 면역력이 떨어져 치통이 심해진다.
최동훈치과의원장은 “진료 중 검사비와 진료비를 하나하나 캐묻는 ‘자린고비 환자’가 눈에 띄게 늘었다”면서 “진료인지, 치료비상담인지 모를 정도”라고 말했다.
〈이성주기자〉stein33@donga.com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