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심증과 심근경색증〓심장과 연결된 관상동맥의 혈관이 좁아지는 협심증과 혈관이 막혀 심근의 일부가 파괴되는 심근경색증.
요즘 30, 40대 환자가 늘고 있는 두 질환의 예방 및 치료법을 가톨릭대의대 김재형교수가 강의.
▼스트레스와 심장병〓미국 존스홉킨스대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심장병의 75%가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다.
특히 정력적이고 경쟁을 좋아하는 스타일이 스트레스로 인한 심장병에 걸리기 쉽다. 강사는 고려대의대 오동주교수.
▼부정맥에 대한 상식〓정상인의 맥박은 1분에 60∼1백번. 맥박이 이보다 느리거나 빠른 경우, 또는 불규칙적으로 뛰는 것이 부정맥. 순환기 이상의 신호다.원인과 증세에 따라 진단과 치료법이 다양. 서울대의대 최윤식교수.
▼심장마비를 예방하는 생활요법〓일반인은 심장발작의 흉통과 소화기 질환의 흉통을 구별하기 힘들어 심장발작을 소화기계통의 이상으로 여겨 ‘큰일’을 당하기 쉽다.
15분 이상 숨이 막히고 앞가슴이 조이는 듯 아프면 심장발작일 가능성이 크므로 즉시 앰뷸런스를 불러야 한다.
대부분 운동 후나 무리했을 때 가슴이 조이는 듯 아프다가 가라앉는 전조(前兆)증세를 보인다. 연세대 원주의대 최경훈교수.
〈이성주기자〉stein33@donga.com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