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와 협력을 통한 성숙한 정치를 복원하기로 합의했다.’(합의문)
“정치에 대한 국민의 피곤함과 짜증을 덜어주는 계기가 됐다.”(국민회의 대변인)
“총재회담은 국민의 불안을 해소시키고 경제회복과 민생안정에 기여하자는데 그 뜻이 있다.”(한나라당 대변인)
총재회담에 대한 당시 여야의 반응이었다. 국민도 정치인 이상으로 총재회담을 반겼고 답답한 가슴을 속시원히 뚫어 줄 수 있는 ‘큰 정치’를 기대했다.
하지만 총재회담이 열린지 한달이 채 안된 지금은 어떤가. 여야 총재간에 합의했던 경제청문회 12월8일 개최, 민생현안 회기내 처리 등 5개항의 합의사항은 대부분 지켜진 것이 없다. 경제청문회는 내년초에나 열리면 다행이라는 얘기가 흘러나오고 있고 예산안 처리는 법정시한(2일)을 훨씬 넘겼다. 정치개혁법안이나 지역갈등 해소를 위한 제도적 보완 등도 마찬가지다.
특히 여야의 대립으로 표류하고 있는 경제청문회개최문제를 지켜보면 분노마저 느껴진다. 시간을 끌다 적당히 무산시키겠다는 것인지 도무지 속셈을 알 수가 없다. 문제는 이것이 양당 총재들의 합의사항이라는데 있다.
여야는 관례상, 국회에서 풀리지 않는 난제들을 총재회담이라는 형식을 통해 풀어왔다. 그만큼 총재회담은 여야가 기댈 수 있는 마지막 돌파구다. 그런데도 총재회담의 합의사항조차 휴지조각이 돼버린 느낌이다.
수석부총무회담도, 총무회담도, 총재회담도 신뢰할 수 없는 상황에서 여야는 이제 누구를 상대로 약속을 할 것인가.
국민은 총재들간의 약속조차 지키지 못하는 정치권의 행태가 더욱 피곤하고 짜증스럽기만 하다.
윤영찬<정치부>yyc11@donga.com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