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캠페인/전문가 의견]교통안전시스템 투자 늘려야

  • 입력 1999년 2월 7일 19시 29분


미국에서 운전을 하다보면 고속도로든 프리웨이(도시간 도로)든 ‘나가는 곳(exit)’ 표시가 잘 돼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나가는 곳이 몇마일 남았는지 먼곳에서 부터 가까운 곳 순으로 일목요연하게 표시되어 있다.

도심내 도로도 마찬가지. 앞으로 지나게 될 거리의 이름이 3,4개씩 표지판에 안내돼 있다. 운전자들은 이를 보고 갑자기 차로를 변경하지 않고 여유있게 운전하게 된다. 야간에도 도로안내표지판이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해 대부분 표지판 밑에 전등을 설치해 놓았다.

또 미국 도로는 밖으로 빠져 나가거나 합류하는 지점, 램프를 타고 고가도로로 진입하는 곳 등의 커브가 우리나라 도로에 비해 훨씬 완만하다. 뿐만 아니다. 차선에 일정한 간격으로 반원형 구슬을 설치, 무심코 차선을 넘는 차량에 ‘주의신호’를 주고 있다. 또 주행차로와 갓길 사이에는 울퉁불퉁한 면을 만들어 자동차가 심하게 진동하도록 해놓았다.

우리나라의 경우 매년 1만명 가량이 교통사고로 숨지고 30만여명이 부상을 입는다. 교통사고로 인한 재산피해도 한해 7조원 가량으로 국민소득(GNP)의 2.3%에 이른다.

개발도상국의 도로 교통사고로 인한 재산피해가 평균 GNP의 1% 수준임을 감안할 때 우리나라는 여전히 교통후진국임을 알 수 있다.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 운전자들이 관련 법규를 지키는 것도 물론 중요하지만 행정당국도 교통안전 시스템에 과감한 투자를 해야한다.

김시곤(남서울대 교수·지리정보공학)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