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설수설]홍찬식/배운사람의 연고주의

  • 입력 1999년 3월 4일 19시 37분


일본 소니사는 신입사원을 채용할 때 학력을 묻지 않는다. 입사원서에도 출신 대학을 써넣는 난이 없다. 실력 위주로 사원을 뽑기 위해서다. 97년 도산한 야마이치증권은 일본내에서도 명문 도쿄대 출신이 많이 일하는 대표적 기업이었다. 기업문화가 판이한 두 기업은 결국 명암이 엇갈리고 만다. 소니사는 일본 경제의 침체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잘나가는’ 회사인 반면 야마이치증권은 몰락했다.

▽일본에서 최고의 인재만 모인다는 대장성은 경제를 최악의 상황에 이르게 한 ‘주범’으로 몰려 국민의 호된 질책을 받고 있다. 게다가 뇌물을 받은 대장성 관리들이 잇따라 체포되면서 도덕성마저 도마에 오르고 있다. 이같은 사례들을 교육이 안고 있는 문제로 확대해석하는 것은 자칫 비약이 될 수도 있다. 분명한 것은 ‘실력이 꼭 성적에 비례하지 않는다’는 진리를 일깨워 주는 점이다.

▽비슷한 사회흐름을 반영하는 연구결과가 국내에서도 나왔다. 고학력자일수록 연고에 집착하고 질서의식과 비판의식도 떨어진다는 교육개발연구원의 조사가 그것이다. 연고주의는 합리주의 정착을 가로막는 한국적 병폐다. 비판의식의 부재는 부패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배우지 못한 사람이 더 민주적이라는 사실은 그야말로 아이러니다. 교육의 실패라는 얘기가 나올 법 하다.

▽우리 사회는 고학력시대에 접어든지 오래다. 고교진학률이 100%에 근접하고 대학진학률은 일반고교의 경우 80%가 넘는다. 세계적으로도 인구당 대학생 비율이 가장 높은 나라에 속한다. 그래서 고학력자와 그렇지 않은 사람을 나눠놓고 교육 문제를 운운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어 보인다. 결국 우리 사회 구성원 전체가 연고주의에 빠져있다고 보는 게 더 타당하지 않을까. 이런 구습에서 벗어나는 것이 합리에 근거한 민주사회를 앞당기는 길이다.

홍찬식 <논설위원〉chansik@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