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같은 사례는 동아일보와 경실련의 ‘클린 펀드’프로그램에 접수된 최모씨(57·인천 남구)의 제보를 토대로 확인한 것이다.
최씨는 “근무환경이 열악한 시골 우체국에는 관사가 필요하겠지만 집에서 출퇴근이 가능한 수도권 등 도심지역의 관사는 명백한 예산낭비 사례”라고 말했다.
▼ 실태
4억5000만원을 들여 97년 준공된 경기 부천시 소사구의 한 우체국. 맨 윗층인 3층 28평을 국장용 관사로 쓰고 있다. 30여평의 2층 사무실은 3년째 방치돼 있는 실정.
부천시 원미구의 한 우체국도 사정은 비슷하다. 3층 23평은 관사로, 2층의 약 30평짜리 공간은 장롱 등 살림살이를 보관하거나 빨래를 너는 곳으로 사용되고 있다.
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지역의 6급우체국 건물은 377개. 이중 299개(79.3%)가 국장용 관사를 가지고 있다.
정통부는 “98년부터는 도시지역 6급우체국에는 관사를 짓지 않고 있으며 농어촌지역도 지방체신청장의 검토를 거쳐 꼭 필요한 곳에만 짓고 있다”고 밝혔다.
▼ 또 다른 문제점
정통부의 새 방침에 따라 관사 없이 지어진 인천 부평구의 한 6급우체국은 지난해 12월 개국했다. 그러나 관사 대신 임대용 사무실 용도로 만들어진 2층 공간은 8개월이상 비어 있다. 별도출입문이 없기 때문이다. 이 우체국은 최근에야 뒤늦게 출입문 공사를 벌이고 있다. ‘특혜 시비를 불러 일으키는 관사만 안 지으면 그만’이라는 안일한 생각이 또다른 예산 낭비를 부른 셈이다.
서울 양천구 신정3동 6급우체국은 2층 62평 공간 중 20여평을 동네 주민들을 위한 문화센터로 꾸며 운영하고 있어 모범적 사례로 손꼽히고 있다.
경실련 예산감시위원회 정창수(鄭昌洙)연구부장은 “이왕 지어진 공공시설물의 여유공간은 지역주민을 위한 효율적인 문화공간으로 활용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말했다.
클린펀드 제보전화는 동아일보 02―361―0100, 경실련 02―775―9898.
〈인천·부천〓부형권기자〉bookum90@donga.com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