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P 공조(共助)’의 흐름이 심상찮다. 총선시민연대가 김종필(金鍾泌)자민련명예총재에 대해 ‘정계은퇴’를 권고하자 자민련측은 당장 그 배후로 청와대를 겨냥하며 강력히 반발하고 나섰다. 이런 상태라면 4월 총선에서 공동여당의 연합공천도 어렵지 않겠느냐는 분위기다. 20일 창당된 새천년민주당이 당강령에서 내각제를 빼자 자민련측에서 “사실상 손을 끊자는 게 아니냐”며 발끈하던 정도가 아니다. 공동정권의 파트너가 이른바 ‘JP 청산 음모’를 꾸미고 있다면 갈라설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물론 청와대와 민주당측이 한사코 ‘음모론’을 부인하고 있고 당사자인 JP가 입을 다물고 있어 이번 사태가 어떻게 진전될지 속단하기는 어렵다. 적어도 총선까지는 ‘불안한 동거’가 이어지리라는 것이 일반적인 관측이기도 하다. 그야 어떻든 총선시민연대의 JP에 대한 ‘정계은퇴 권고’만으로도 현정권의 기본틀인 ‘DJP 연합’의 모양새는 이상해졌다.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이 사실상 시민단체의 낙천 낙선운동을 지지해온 가운데 그들 시민단체의 연합체가 공동정권의 한쪽 수장(首長)을 ‘퇴출 대상’으로 공개 지목했으니 뒤늦게 청와대가 ‘JP까지 건드린 것은 잘못’이라는 식으로 두둔하고 나선들 손상된 ‘DJP 연합’의 정치적 도덕적 권위가 쉽사리 회복되기는 어려울 것이다.
김대중대통령은 20일 민주당 창당대회에서 여당의 국회의석수가 전체의 3분의 1밖에 되지 않아 국정운영에 큰 어려움이 있었다는 점을 강조했다. 표면적으로는 4월 총선에서 새 당에 힘을 실어달라는 취지라고 하겠으나 그 이면에는 공동정권의 한 축인 자민련과의 공조가 사실상 ‘실패작’이었고, 따라서 민주당 단독의 과반수 의석 확보라는 ‘절실한 바람’이 내포돼 있다고 할 것이다.
‘DJP 연합’은 97년 대통령선거 승리를 위한 지역연합의 성격이 강하다. 호남+충청의 선거전략적 제휴였을 뿐이다. 그 결과 지난 2년 동안 공동정권의 정책공조는 삐걱거릴 수밖에 없었다. 더구나 공동정권의 핵심이라 할 내각제문제가 불투명해지면서 사실상 두 여당을 한 데 묶을 끈이 없어진 것이나 마찬가지인 형국이 됐다. 이런 상황에서 ‘JP 은퇴 권고’가 돌출하자 자민련측은 김대통령이 그동안 ‘새로운 파트너’를 물색해왔으며 시민단체가 바로 그 유력한 ‘후보’가 아니겠느냐며 의심하고 있다. 이른바 ‘음모론’이다. 결국 ‘DJP 연합’의 운명은 4월 총선 결과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DJP연합’의 운명이 정국운영의 향방에 결정적 영향을 줄 것이기 때문에 우리는 깊은 관심을 갖고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