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늦게나마 현대가 ‘선자구(先自救) 후보완(後補完)’방식의 현대투신 정상화 방안을 내놓은 것은 다행이다. 이로써 한국 대한 현대투신 등 투신권의 부실 처리 방향이 큰 가닥을 잡을 수 있게 됐으며 금융시장의 불확실성도 어느 정도 걷히게 되었다. 물론 현대투신 정상화 방안을 최선의 대책이라고 평가할 수는 없다. 담보인 비상장 계열사의 주식가치 평가에 대한 논란은 차치하더라도 정상화 계획의 실현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현 상황에서 현대가 나름대로의 최선을 다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시장에 대해 책임을 지라’고 다그치던 정부가 현대의 어정쩡한 절충안을 전격 수용한 것이다. 현실적으로 자본시장의 조기 안정을 위해선 현대의 자구 계획을 수용할 수밖에 없고 투신권 부실에 관한 한 정부에도 일단의 책임이 있음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일 것이다.
한마디로 현대투신의 정상화 계획은 이를 제시한 현대나 마지못해 수용한 정부 모두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이른바 ‘윈-윈’전략으로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자구 계획의 차질 없는 실천이 뒤따르지 않으면 안된다.
경영정상화를 통한 당기순익의 극대화는 물론이고 외자유치에도 최선을 다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펀드에 편입된 자산에서 부실 자산을 걷어내는 일도 시급하다. 오는 7월 채권시가평가제 시행을 앞두고 있어 투신권은 그 이전에 부실을 떨어내야 한다.
이번 현대투신 사태는 단순히 부실채권문제만으로 촉발된 것이 아니다. 크게 보아 재벌 경영의 투명성에 대한 시장의 신뢰를 잃었기 때문이다. 현대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현대투신의 경영정상화뿐만 아니라 그룹차원의 개혁에 보다 박차를 가하지 않으면 안된다. 무엇보다 기업지배구조를 개선해 선진기업형 책임경영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선단식 경영도 불식해야 할 것이다.
현대는 시장은 물론 재계로부터도 외면당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현대의 황제적 경영, 그리고 거기에서 비롯된 특유의 기업 문화를 바꾸지 않고는 현대의 신뢰는 회복되기 어렵다.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