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남]경남 하천정비 늑장 물난리 '쳇바퀴'

  • 입력 2000년 9월 25일 21시 35분


경남지역의 하천 정비가 크게 늦어져 해마다 농경지와 주택 침수 등 피해가 반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경남도에 따르면 도내 687개(전체길이 4188㎞)의 국가하천과 지방1,2급 하천 가운데 제방 축조와 호안정비 등 개수가 필요한 양안(兩岸)의 총 길이는 5368㎞이지만 현재 39.7%인 2131㎞만 개수가 끝나 전국 평균 개수율 60%에 훨씬 못미치고 있다.

시도별 하천 개수율은 경기도가 84%로 가장 높고 충북 69%, 경북 62%, 전남 61% 등이다.

물난리를 자주 겪고 있는 창녕군 남지읍 남지리 구간의 낙동강 제방은 전체 3.9㎞ 가운데 농경지가 있는 2.3㎞의 경우 대부분의 제방공사가 마무리됐으나 400여가구 1000여명의 주민이 살고있는 1.6㎞구간은 내년부터 공사에 들어가기로 돼 있다.

이 구간은 보상비 819억원과 이주대책비 117억원 등 모두 1020억원의 사업비가 필요해 경남도가 내년도 예산에 국비 500억원의 지원의 요청해둔 상태지만 예산이 확보될 지는 불투명하다.

이밖에 지방 2급 하천 가운데 상습수해를 입어온 130개 지구 242㎞ 가운데 112개 지구 199㎞는 1700억원에 달하는 사업비 확보가 어려워 손도 대지 못하고 있다.

경남도 관계자는 “올해만도 태풍과 호우로 4300㏊가 넘는 농경지와 200여채의 집이 침수되는 등 해마다 큰 피해를 입고 있다”며 “9개의 국가하천을 포함해 지방1,2급 등 하천이 많은 경남은 정부차원에서 적극적인 예산지원이 뛰따라야 한다”고 말했다.

<창원〓강정훈기자>manma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