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발 교통선진국/전문가 기고]"車 결함 공개리콜"

  • 입력 2000년 10월 23일 19시 12분


한국은 자동차 보유대수가 1200만대를 넘었고 한 해 280만대를 만드는 세계적인 자동차 생산국이다. 이제 애국심을 내세운 국산차 보호정책의 시대는 지났고 어떻게 하면 튼튼하고 안전한 차를 만드느냐에 자동차산업의 경쟁력이 달려 있다.

자동차의 안전도 향상은 정부정책과 관련 제도에 크게 좌우된다. 선진국은 오래 전부터 안전기준을 만들었다. 미국은 이미 60년대초 연방교통안전청(NHTSA)을 설립해 소비자 보호 조치로 리콜 등 각종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우리 나라도 지난해부터 건설교통부가 소비자에게 자동차 안전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제작사의 자발적 경쟁을 유도하기 위해 신차 평가제도(NCAP)를 시행하고 있다.

시판 자동차를 무작위로 구입해 시속 56km의 속도로 정면충돌 시험을 해 탑승자의 상해가능성, 연료누출, 충돌 후 문열림 등 안전도를 평가하고 공표한다. 시험 결과는 판매에 막대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자동차회사는 안전한 차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할 수 밖에 없다.

흔히 탱크처럼 튼튼한 차가 안전한 차라고 오해한다. 실제는 충돌 사고시 차체가 아코디언의 바람통처럼 잘 접히면서 파손돼 충격을 흡수하는 차가 안전하다.

자동차 사고예방을 위해서는 결함 자동차의 결함 내용을 사전에 시정하도록 하는 리콜제도가 매우 중요하다. 건교부는 올해부터 LPG자동차의 연료누출 등 7개 분야에 대한 결함조사를 실시, 최근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일부 승용차에 대해 강제 리콜 조치를 취했다.

교통사고로부터 귀중한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제작사가 안전연구 투자를 늘리고 결함 사실을 숨기지 말고 공개 리콜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정부도 안전도 확보정책을 적극 시행해야 한다.

또 ‘리콜 자동차〓문제 자동차’라는 인식도 버려야 한다. 공개 리콜을 한다는 것은 양심적인 경영자세이기 때문에 박수를 보내야 한다.

신차 평가제도와 리콜시행은 자동차 안전도를 높이는 획기적인 계기가 됐다. 우리 나라 자동차 제작사들도 안전도 강화를 위해 노력해야만 세계적인 자동차 회사로 살아남을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윤경한(자동차성능시험연구소 책임연구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