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광우병 정말 안심해도 되나

  • 입력 2001년 2월 5일 18시 53분


우리나라는 광우병 안전지대인가. 정부는 일간신문에 ‘광우병 걱정 없다’는 광고를 내면서 광우병이 우리나라에서는 문제가 없다고 강조하지만 국민의 불안감은 오히려 증폭되고 있다. 광우병의 원인으로 잠정 결론이 난 동물성 사료를 수입한 사실도 뒤늦게 밝혀졌고, 정부의 대책도 외국의 조치를 뒤따라가거나 해명에 급급한 수준이어서 어쩐지 미덥지 못하기 때문이다.

정부는 우선 축산기술연구소에서 음식물찌꺼기로 만든 사료를 먹인 소를 도축해 시중에 유통시켰지만 임상검사를 해 안심해도 된다고 했다. 또 일반 축산농가에서 음식물찌꺼기를 먹인 소의 고기도 유통됐지만 광우병과는 관계가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정부의 태도는 너무 안이한 자세라고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영국은 88년, 미국은 97년부터 동물성 사료를 소에게 먹일 수 없도록 했지만 우리는 지난해 12월에야 외국의 조치를 따라갔다. 하지만 그 조치를 취하면서도 소의 뼈나 고기 등이 포함될 가능성이 있는 음식물찌꺼기를 먹이는 행위는 금지하지 않다가 이번에 논란이 일자 뒤늦게 금지 조치를 내렸다. 더욱 놀라운 것은 광우병의 위험성이 유럽을 들끓게 하던 시점에 정부연구소가 동물성 사료 실험을 했다는 점이다. 그 사료를 먹은 소의 고기와 뼈 등을 유통시켰다면 결과적으로 국민도 시험 대상이 된 셈이 아닌가.

정부는 캐나다와 미국이 2일 브라질산 소와 그 부산물에 대한 금수조치를 내리고 멕시코도 4일 같은 조치를 취하자 같은 날 밤 늦게 브라질 소 등에 대한 금수조치를 했다.

정부의 뒤늦은 대책과 해명은 거기서 그치지 않는다. 영국의 신문들이 영국산 소 뼛가루 사료가 88년부터 한국에도 수출됐다고 잇따라 보도하자 정부는 뒤늦게 그 사료들은 개와 고양이 등의 사료로 사용된 것이 확인돼 광우병 전염 가능성은 없다고 밝혔고 또 일부는 도자기(본차이나) 제조에 사용됐다고 해명했다.

정부가 우리나라에서는 광우병이 발생하지 않았다는 사실만으로 광우병 안전지대라고 강조하는 것은 소극적인 대책일 뿐이다. 국민은 물론 걱정이 태산 같은 축산농가를 안심하게 할 수 있는 길은 정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는 일뿐이다. 정부는 광우병 제로 국가라고 자신 있게 선언할 수 있도록 광우병이 유입될 수 있는 모든 분야를 철저히 점검하고 확인하는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