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신용정보는 전일 CP등급을 B+에서 A3-로 상향조정했다. 회사채로 치면 투기등급에서 투자적격등급의 맨아래인 BBB-로 올랐다는 의미다.
회사채 신용등급은 현행 투기등급(BB+)을 유지하면서 '상향조정대상'에 포함시켰다. 추가구조조정성과의 성과로 장기상환능력이 향상되면 올리겠다는 의도다.
현대건설이 지난해말 현재 22조원의 공사물량과 연간 6조 5000억원 규모의 매출 그리고 차입금 감축에 따른 금융비용 절감과 사업구조 조정에 따른 수익성개선을 신용등급 상향조정의 근거로 제시했다.
같은날 한국기업평가도 역시 BB+(회사채)와 B+(기업어음)인 신용등급을 '긍정적 검토대상'에 편입하겠다고 밝혔다.
신용평가기관의 이같은 조치에 대해 대다수 채권전문가들은 "시장분위기와 동떨어진 신용등급 향상"이라고 평가절하한다.
현대건설의 단기 유동성위험이 실질적으로 감소했다는 시장공감대가 형성되지 않았다고 지적한다.
신용평가기관이 정부의중대로 신용등급을 올렸다고 애써 의미를 부여하지 않으려고 한다. 정부가 채권시장에 직접적으로 개입하는 상태에서 신용등급은 무의미하다는 얘기다. 심지어 정부가 사실상 지급보증하는데 'AAA등급'은 어떠냐는 냉소적인 반응도 나타낸다.
익명을 요구한 채권펀드매니저는 "지난 1월 현대건설이 하나은행이 돌린 기업어음을 막지 못해도 부도가 나지 않았기 때문에 신용등급의 상향조정은 별다른 의미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신용등급 향상에도 불구하고 현대건설의 CP를 '자발적'으로 매수하려는 기관투자가들은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이번 신용등급 상향조정으로 만기도래하는 CP를 은행권이나 투신권에서 만기연장할 수 있는 근거는 확보한 셈이라고 설명했다.
또다른 채권전문가는 "정부가 아무리 현대살리기에 나서도 현대건설의 자구계획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을 경우 단기유동성 위험은 상존한다"고 경고했다.
즉 현대건설이 서산농지매각과 사옥매각 등을 통해 7485억원을 조달하지 않으면 단기 유동성 위기가 재발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현대건설의 지난해말 총차입금((회사채+은행대출 등)은 4조 5000억원대. 이중 올해 만기도래하는 차입금은 3조 8000억원에 달한다. 물론 산업은행이 만기도래 회사채(1조 9507억원)의 80%를 인수해주고 채권단이 9518억원을 만기연장해 실질 상환규모는 이보다 적다.
그렇지만 560억원의 해외차입금의 만기연장과 자구노력으로 7485억원을 조달하지 못할 경우 정부지원은 물거품이 될 수 있다는 얘기다.
이같은 상황에서 신용등급 상향조정이 현대건설의 신인도 향상에 별다른 도움이 못된다는게 채권전문가들의 다수 견해다.
박영암 <동아닷컴 기자> pya8401@donga.com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