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과 군은 합수반 해체후에도 `박노항원사 특별검거반'은 계속 운영하고 그간수사과정에서 도피, 잠적한 관련자는 끝까지 추적하는 한편 일선 지검에 병역비리전담검사를 선정, 상시수사체제를 갖추기로 했다.
검.군은 3-4년마다 주기적으로 병역비리 수사에 나설 방침이다.
합수반은 작년 2월14일 `반부패국민연대'가 검찰에 넘긴 사회지도층 병역비리의혹대상자 210명의 명단을 넘겨받아 수사에 착수, 지금까지 500여건의 비리 관련자1천750여명을 수사한 결과 금품제공자 168명, 전.현직 병무청직원 79명을 포함한 알선브로커 134명, 전.현직 판정 군의관 25명 등 327명을 적발했다.
합수반은 이중 재벌기업 계열 J사 대표 김종선(60)씨 등 159명을 구속기소, 한나라당 김태호의원 등 151명을 불구속기소하고 송재환 전 병무청장 등 17명을 수배하는 한편 병역을 불법면제받은 160명에 대해 재신검후 현역입영 조치토록 병무청에통보했다.
합수반은 작년 반부패 국민연대로부터 넘겨받은 75명의 정치인 자제중 공소시효가 지난 44명을 제외한 31명과 별건 적발된 1명 등 32명의 병역비리 의혹을 조사했으나 불구속기소된 한나라당 김태호 의원의 아들 외에는 대부분 금품수수 혐의가 포착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또 정치인 자제 20여명에 대해 재신검을 실시한 결과 대부분 최초판정 직후 수술을 받았거나 재검결과가 병역면제 당시와 동일하게 나와 범죄사실을 입증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승구 본부장은 "병역비리 수사가 착수되기전 전국적으로 연평균 7.58%에 달했던 신체결함에 따른 병역면제 비율이 작년에는 3.1%로 줄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병역비리 관련자 처리내용 | ||||
구 분 | 구속 | 불구속 | 기소중지 | |
공 여 자 | 62 | 102 | 4 | |
알선자 | 병무청 공무원 | 50 | 18 | 11 |
민간인 기타 | 25 | 18 | 2 | |
군인 군무원 | 7 | 3 | ||
판정 군의관 | 전역 | 11 | 8 | |
현역 | 4 | 2 | ||
합 계 | 159 | 151 | 17 |
신검 단계별 유형(181건) | ||||
구분 | 최초신검비리 | 재검신청비리 | 귀향이후비리 | 기 타 |
현황 | 47 | 111 | 11 | 12 |
질병사유·과별 유형(181건) | |||
구 분 | 건 수 | 구 분 | 건 수 |
신경외과 | 65 | 내 과 | 18 |
안 과 | 35 | 치 과 | 8 |
정형외과 | 23 | 기 타 | 32 |
알선자별 유형(134명) | |||
구 분 | 인원 | 구 분 | 인원 |
병무청공무원 | 79 | 민간인 | 45 |
군기관원 | 4 | 의정 | 2 |
군의관 | 2 | 기타 | 2 |
금품공여자별 현황(180명) | |||
직 업 | 인 원 | 직 업 | 인 원 |
사업 | 61 | 정치인 | 4 |
기업임원 | 23 | 대학교수 | 3 |
의사 | 4 | 주부 | 35 |
공무원 | 6 | 기타 | 44 |
공여금액별 현황(18명) | |||
공여금액 | 인원 | 공여금액 | 인원 |
5,000만원이상 | 16 | 2,000만원이상 | 36 |
4,000만원이상 | 8 | 1,000만원이상 | 43 |
3,000만원이상 | 13 | 1,000만원미만 | 64 |
의무자별 현황(181명) | |||
구 분 | 인 원 | 구 분 | 인 원 |
유학생 | 24 | 운동선수 | 3 |
대학생 | 112 | 기 타 | 42 |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