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태평화재단 주최로 이날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 국제학술회의에 참석한 로스 전차관보는 “미국과 일본 등 누구도 한반도의 분쟁을 원치 않고 있으며 이는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을 미국에 빨리 초청한 데서도 알 수 있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북한 외무성 대변인이 미국의 강경정책에 대해 강력 대응하겠다고 담화를 발표했다.
“아직 그 내용을 들어보지 못했다. 그러나 북한의 전형적인 반응이고 특별한 내용을 찾아보기 어려울 것 같다.”
―북한 김정일(金正日) 국방위원장의 서울 답방시 한국정부가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대체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는데 미국 입장은 어떤가.
“4자회담은 남북 양자간 회담이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시작됐기 때문에 양자간의 평화협정 체결 논의가 바람직하다. 또 이 문제는 한미간에 긴밀히 협의되고 있다.”
―김 국방위원장이 미국측에 주한미군 주둔을 용인했다는 보도가 있었다.
“매들린 올브라이트 전국무장관의 방북 이후 그런 질문이 많았다. 그러나 김 대통령의 언급밖에는 들은 게 없다.”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의 경수로 건설공사 지연으로 화력발전소가 검토된 적이 있나.
“제네바협정에 따른 핵시설 동결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다. 당면한 북한 에너지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수로뿐만 아니라 좀더 신속하고 경제적인 방법이 없을까 하는 논의는 있었다. 그러나 그건 아이디어 차원이었다.”
―한반도 평화정착 협의가 진행될 때 주한미군의 후방배치나 축소가 가능한가.
“주한미군 문제는 한미 정부의 양자간 문제이다. 거기에 따라 정책이 결정된다. 지금은 남북이 논의할 문제가 아니다.”
―미국의 새 행정부에서 페리프로세스가 얼마나 수정될 것으로 보나.
“내가 일하지 않는 정부의 입장을 말하기는 어렵지만 동맹국과 밀접한 협의가 있는 만큼 변화는 없을 것 같다.”
<김영식기자>spear@donga.com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