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론 책 어디에도 침실이나 야담의 스멀거림은 없다. 치밀한 고증에 입각해 히틀러의 연인이자 동반자살 직전 결혼식을 올렸던 에바 브라운을 포함, 권력 주변 여성 8인의 일대기를 다룬 다큐멘터리 책이다.
인간이 만든 언어를 총동원해 비난해도 부족한 인물이 유태인 600만명을 학살한 히틀러다. 그런 괴물이니만큼 됨됨이와 사생활 역시 난폭, 변태, 정신이상으로 점철됐을 걸로 추측된다.
실제 수많은 나치 관련서들이 그를 성불구에서 기인한 성격파탄자로 묘사해왔다. 당연히 그의 측근들 역시 마찬가지 범주로 설명되었으니 그 주변여성이야 말해 무엇하랴. 그런데 이 책의 이면에는 그런 통념을 자꾸만 흔드는 내용이 흐른다. 괴서일까, 진실규명 노력일까?
‘이완용 평전’을 펴낸 근대사 연구가 윤덕한의 혼란이 떠오른다. 후손들이 무덤까지 파헤쳐 버린 ‘만고의 역적’이자 ‘며느리와 사통했다’는 패륜아 이완용의 삶을 추적해 보노라니 영 그게 아니더라는 것이다.
비록 매국에 앞장 선 그의 죄업이 경감될 수는 없겠지만, 적어도 이완용 개인의 됨됨이는 대단히 훌륭한 선비의 풍모를 지녔을 뿐더러 창립위원장과 2대 회장으로 독립협회를 이끌었던 사실이 확인되기 때문이다.
혼란 끝에 윤덕한이 내린 결론은, 이완용 한 인물에게 모든 악업을 씌움으로써 주변에서 그 못지 않게 매국의 단맛을 누렸던 지배층 모두가 면피를 도모한 역사적 음모가 숨어있었다는 것이다.
히틀러는 어땠을까? 두 차례나 자살 소동을 벌여가며 멀어져 가는 연인의 마음을 붙잡은 ‘철없는 소녀’ 에바 브라운의 행각은 차라리 귀엽고 그에 굴복하는 히틀러는 순진해 보인다. 정부로 소문났고, 의문의 권총자살을 한 조카 겔리 라우발에 대한 애틋한 총애 역시 저자의 추적대로라면 패륜 혹은 변태성과는 거리가 있어 보인다.
나머지 여성들, 히틀러의 최측근 인물 괴링의 전처와 후처인 카린과 엠미 괴링, 악명높은 선전상 괴벨스의 아내인 막다 괴벨스, 당시의 유명 여성감독 레니 리펜슈탈, 열렬한 나치즘 숭배로 한 몫 잡은 게르트루트 클링크나 헨리테 쉬라흐 같은 여성들의 영욕을 통해 확인되는 사실은 권력의 부나방들에게 상응하는 대가가 따른다는 평범한 진리일 뿐이다. 싸이코들의 피범벅 카니발이 전개되지는 않는다.
빨갱이에게 뿔이 달렸는지 아닌지 우리는 남북정상회담을 통해 충분히 확인해 보았다. ‘뿔’의 상징은 동화의 세계로 우리를 이끈다. 하지만 현실세계는 뿔도 없는 멀쩡한 인물들의 일상적 과정을 통해 전개된다. 그 속에서 범죄와 살육과 마침내 홀로코스트의 광풍이 몰아치기도 하는 것이다.
등장인물들에 대해 시종일관 비난조의 수사로 써내려 갈 수밖에 없는 독일어권 저자의 행간 속에서 ‘팩트’만을 추려낸 끝에 나는 오히려 더 오싹한 ‘일상적 파시즘’을 읽었다.
김갑수(시인·SBS 라디오 ‘책하고 놀자’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