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식회계란 기업이 결산과정에서 실적을 부풀리기 위해 회계장부를 조작하는 행위로 대부분 금융대출을 쉽게 받거나 주가를 높게 유지하기 위해 이뤄진다. 조작된 분식장부만 믿고 돈을 빌려준 은행이나 선량한 투자가들이 피해를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분식은 악질적 사기행위에 속한다. 특히 일부 회사의 고의적인 분식 때문에 기업도산 후 공적자금이 투입되고 국민경제가 어려워진 현실을 보면 분식 근절에 대한 정부의 의지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그러나 분식은 이미 우리 기업에 만연된 고질적인 병폐이기 때문에 그 관행을 뜯어고치는 일이 그렇게 단순하지만은 않다는 데 문제가 있다. 최근 금융감독원이 100개 상장기업 가운데 약 3분의 1이 과거 11년간 분식을 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힌 것만 보아도 상황의 심각성을 읽을 수 있다. 과연 김 대통령이 말한 대로 ‘정부가 안 이상’ 이들 기업 모두에 대해서도 대우 임직원에 대한 것과 동등한 처벌을 할 수 있을까.
분식이 기업과 금융기관, 그리고 회계법인의 묵시적 동조 아래 빚어진 것이라면 근절은 더욱 어려워진다. 관치 금융 시절 대출 압력을 받은 은행이 해당 기업에 대해 회계장부를 대출기준에 맞도록 고치라고 요구한 경우가 허다하고 그 기업에 우호적인 회계법인이 형식적 감사만 한 경우 지금 누가 그 잘못을 드러낼 수 있을까.
더 나아가 한번 분식을 하면 그 기업은 다음해에도 전 해의 분식분 만큼 다시 장부를 속이지 않을 수 없는데 과연 그것을 용기있게 단절할 수 있는 기업이 몇이나 될지 현실적으로 의문이다.
물론 드러난 분식에 대한 엄격한 처벌은 당연하다. 그러나 처벌과 함께 중요한 일은 기업이 과거의 분식과 단절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제도적 여건을 마련해 주는 것이다. 그래야만 경직된 회계감사 때문에 부정적 의견을 받는 기업이 쏟아져 주식, 채권시장의 대혼란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