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총리 주재로 인천국제공항의 개항과 관련한 종합대책회의를 갖고 “예정대로 29일 개항하겠다”고 밝힌 16일에도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자 건설교통부 고위 관계자는 이렇게 말했다. 이날 오류는 물론 지난달 종합점검에서 나타난 수하물처리시스템(BHS) 등의 오작동보다는 경미했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정말로 예정대로 개항해도 되는 것이냐”는 목소리가 높았다.
시간이 지나면서 개항 전까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건교부나 공항공사의 말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하지만 “아무 문제가 없다”고 주장해온 것이 오히려 빌미가 됐다.
국회의원들의 공항 귀빈실 사용 주장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것도 대표적인 자책 사례. 강동석 공항공사 사장은 13일 국회 건교위에서 국회의원 공항 귀빈실 사용에 대해 “김포공항 관례대로 하겠다”고 답변했다. ‘공사’라는 이름과 달리 상법의 적용을 받는 민간기업이므로 “의원들도 규정대로 요금을 내고 사용해 달라”고 당당하게 답변했으면 명분과 실리, 여론의 지지를 모두 얻었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김포공항과 달리 인천공항은 ‘민간시설’이어서 출입국을 맡는 법무부 등 정부기관도 모두 임대료를 내고 입주한다.
이달 초 공항 컨설팅사가 BHS 등의 문제점을 지적한 보고서를 발표했을 때도 “문제없이 개항만 하면 되지 않느냐”며 관련 내용을 즉각 공개하지 않아 불신만 키웠다. 보고서는 부분 개항을 권고하면서도 일부 내용을 보완하면 전면 개항할 수 있다고 지적했기 때문이다.
인천공항은 일본 간사이, 홍콩 첵랍콕, 중국 상하이 훙차오공항 등과 동북아 허브공항 자리를 놓고 경쟁할 ‘국가적인 옥동자’다. 개항을 앞두고 건교부와 공사의 악수(惡手)가 개항 전부터 경쟁력을 깎아 내리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구자룡<경제부>bonhong@donga.com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