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금강산 하면 부실(不實)이 연상될 만큼 정말 지긋지긋합니다. 철수한다, 계속한다 소리를 들은 것만도 30∼40번은 족히 될 걸요.”(S그룹 한 임원)
현대가 벌이는 금강산 사업이 갈수록 첩첩산중이다. 지난해 11월경부터 고개를 들기 시작한 ‘금강산 사업 중단설(說)’이 6개월간 지루하게 이어지며 ‘결론 없는 소모전’이 지속되고 있다. 6개월 전과 지금 상황을 살펴보면 달라진 점이 없음을 금세 알 수 있다.
“수익성이 없어 배 못 띄운다.”(현대상선) “이 사업은 통일의 물꼬를 튼 역사적 사업으로 정부가 지원해야 한다.”(현대아산) “민간사업에 정부가 지원하는 것은 특혜논란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통일부 문화관광부 등 정부)“관광대가 등 사업초기에 맺은 협약은 기본적으로 지켜야 한다.”(북한)
하나같이 발뺌하려는 자세다. 혹시라도 불거질지 모를 ‘금강산 책임론’을 의식해 ‘불씨’를 남기지 않겠다는 표정이 역력하다.
현대측은 최근까지도 금강산이 ‘겨울잠’에서 깨어나면 관광객이 크게 늘 것이라는 기대를 품었다. 하지만 판단착오였다.올들어 3월말까지 관광객 수는 2만 4264명. 지난해 같은 기간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현대그룹 내에서는 채산성을 무시한 채 북한과 무리한 계약을 한 책임소재를 놓고 분열양상까지 생기는 것도 그래서다.
채권단도 마찬가지다. 채권단은 현대상선에 금강산 사업에서 손을 떼라고 요청했다는 보도에 대해 “금강산 사업을 명시한 적은 결코 없다. 다만 수익성이 없는 사업은 하지 말 것을 요청했을 뿐”이라는 강변을 늘어놓았다. 특혜논란이 무섭다면 정부도 이 참에 ‘지원불가’를 분명히 선언해야 한다.
정몽헌(鄭夢憲)현대아산 이사회 회장이 곧 북한측과 금강산 사업 대가 인하 등을 협의하러 방북할 예정이다. 이번이 ‘아쉬운 소리’를 하는 마지막 방북이 되길 바란다.
김동원<경제부>daviskim@donga.com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