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지면에서 그래픽을 사용하는 것은 단순히 그림을 보여주는 데 그치지 않고 가치 있는 정보를 담을 때 더 빛이 난다. 독자들이 읽기 쉽게 정보를 재가공해서 제공한다는 점에서 과감한 그래픽은 좋은 커뮤니케이션의 도구가 된다. 특히 경제 뉴스나 과학 분야의 새로운 지식, 국제 뉴스 등을 전할 때 복잡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독자의 이해를 돕는다는 점에서 그렇다. 국제 뉴스의 경우 이벤트 중심의 보도에서 벗어나서 이슈 중심의 보도를 시도할 때는 그래픽을 사용해서 독자의 이해를 더 높일 수 있다.
동아일보의 편집에서는 이러한 과감한 그래픽 사용이 돋보인다. 16일자 A24면 '메트로'의 '마라톤,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습니다'기사에서는 마라톤이 왜 좋은지, 직장인들이 어떻게 마라톤을 즐길 수 있는지, 아마추어들이 참가할 수 있는 대회 일정 등을 간결한 그래픽으로 처리해 친절하게 정리 요약해 주고 있다. 19일자 A27면 '사이언스'의 '칩 속에 화학공장을 짓는다'도 화합물을 생산하는 꿈의 미니 공장을 소개하는 과학기사에서 그래픽으로 이해를 도왔다.
19일자 B1면 '머니 & 라이프'의 '예금금리 U턴'과 '지나친 저금리 일본식 장기불황 초래'기사나 16일자 B1면 '자동차 보험료 자율화=값 올리기?'기사에서도 과감한 컬러 그래픽으로 전체 기사의 핵심을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했다. 17일자 A21면에 보도된 '교통문화도 월드컵 시대- 도로위 희생 책임지는 사람 없다'는 기사는 한국과 일본의 교통사고 추이 비교를 도표와 그래픽으로 깔끔하게 정리했다.
조금 더 주문하자면, 도표의 내용이 한 눈에 들어오도록 정리했다면 더 효과적이었을 것이다.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신문이라는 점을 감안한면, 이 기사에 첨부된 도표를 보고 독자들이 양국의 교통사고율 변화 추세를 쉽게 파악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과감한 그래픽의 사용은 영상 세대에 대한 서비스로도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그림이나 그래픽이 기사 내용을 더 효과적으로 정리하고 요약해 이해를 돕는 데 사용되지 못한다면 오히려 귀중한 지면을 낭비하게 된다. 인물 사진 옆에 별로 상징적인 의미도 없는 캐리커처를 싣는 것은 중복투자 일 뿐, 기사 내용을 전달하는 데 도움이 못되는데 '그림을 위한 그' 을 크게 싣는 것은 지면 낭비인 듯하다.
강미은(숙명여대 교수·언론정보학)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