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다가 일부 경찰대 출신 경찰관들의 집단행동은 자신들이 도우려 한 이무영(李茂永) 경찰청장을 더욱 벼랑으로 내몬 결과가 됐다는 게 중론이다. 자체 감찰결과 이번 집단행동을 주도한 것으로 밝혀진 경찰대 총동문회장인 황운하(黃雲夏·서울 용산경찰서 형사과장·경찰대 1기) 경정은 “대우차 노조원 진압 이후 경찰 흔들기를 바로잡아야 한다는 동문들의 전화가 빗발쳤다”며 집단행동의 계기를 설명했다. 하지만 경찰 내 1900여명의 경찰대 동문 중 단지 57명만이 참석한 18일의 ‘전체 동문모임’이 대표성을 띨 만한 것인지에 의문을 제기하는 동문도 적지 않다. 또 참석자 중 성명서 발표에 찬성한 사람은 33명뿐이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모임이 있다는 것을 연락조차 받지 못했다는 한 경찰대 출신 간부는 “몇몇 사람이 하루 전 기수모임을 가진 뒤 하루 만에 전체 의견인 양 성명을 낸 것은 경찰대 동문들의 이름을 팔아먹은 행위”라고 분개했다.
이번 파문은 경찰조직 내 경찰대 출신과 다른 출신간의 분열까지 초래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경찰대 출신이 아닌 한 간부는 “이번 모임을 주도하고 참석한 사람들이 바로 이 청장을 정점으로 한 경찰 내 ‘하나회’ 멤버들”이라며 “이번 사건은 그들이 일으킨 ‘친위쿠데타’라는 비아냥거림이 파다하다”고 전했다. 바로 이 같은 점 때문에 이번 집단행동에 대해 엄중한 문책이 있어야 한다는 주장이 경찰 내에서 설득력을 얻고 있다.
경찰대 출신인 다른 간부는 “집단행동으로 큰 파문을 일으킨 사람들에 대해 서면경고만 한다는 것은 ‘측근 감싸안기’로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인사조치로 의혹을 씻어야 한다”고 말했다.
경찰은 이번 일로 조직의 분열과 내부 불신을 치유해야 하는 또 하나의 숙제를 안게 된 셈이다.
최호원<사회부>bestiger@donga.com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