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리포트]대학생 학력저하 교수3인 긴급 진단

  • 입력 2001년 4월 29일 18시 36분


왼쪽부터 최건호 김흥종 계승혁 교수
왼쪽부터 최건호 김흥종 계승혁 교수
‘대학생의 학력저하 현상’에 대해 서울대 자연대 김홍종(金泓鍾·수학) 계승혁(桂勝赫·수학)교수와 한국과학기술원 최건호(崔建鎬·수학)교수가 25일 서울대 자연대 교수연구실에서 그 실태와 문제점을 진단하는 좌담회를 가졌다. 다음은 좌담회 요지.

▽김홍종교수〓‘대학생의 학력 저하’란 ‘대학 신입생들이 기본 원리를 응용해 스스로 공부할 수 있는 능력인 기초학력이 점차 떨어지고 있는 현상’이다. ‘학력저하’가 심각하다.

▽계승혁교수〓공감한다. 미적분학을 강의하면서 피부로 느낀다. 국어 수학 외국어 등의 기초학력이 떨어지면 논리적 사고와 언어 해석 능력이 낮아져 스스로 공부할 수 있는 능력이 떨어진다. 고등학교 때 배운 원리를 이용해 쉽게 풀 수 있는 문제도 수식이 낯설다는 이유 등으로 손을 못대는 학생이 많다.

▽최건호교수〓학부와 대학원의 수준이 낮아지고 있다. 우선 강의 진도가 느려질 뿐만 아니라 교재도 쉬워지는 경향이다.

▽계교수〓고교 시절 실수 없이 문제를 푸는 반복 연습에 몰두해 ‘시험기계’가 돼 대학에 입학하는 게 큰 문제다. 수능시험은 한 문제만 틀려도 석차가 수만등 떨어지는 게 현실이다. 우수한 학생을 ‘바보’로 만들고 있다.

▽최교수〓몇몇 과목의 암기량을 기준으로 ‘학력저하’를 이야기하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 예전보다 한문 수학 물리 실력은 떨어졌을지 몰라도 인터넷 등 컴퓨터에 능숙하기 때문에 지식 총량의 변화는 크지 않다고 생각한다.

▽계교수〓과학기술을 배우겠다는 학생마저 수학 실력이 처져 물리 공부를 못한다면 문제 아닌가. 전공 공부를 제대로 할 수 없는 학생이 많다. 첨단 통신산업은 그 자체가 삼각함수라고 말할 정도지만 실제로 공대생 중에 삼각함수를 제대로 모르는 학생이 있다. 삼각함수나 미적분을 모르고 공대를 졸업하는 것은 국가적 자원낭비다.

▽김교수〓우수 학생에게 공부를 심화시킬 수 있는 동기부여가 없으니 대학과 대학원의 ‘하향 평준화’가 일어나고 있다. 외국 대학과 경쟁할 수 없다. 미국과 한국 학생의 수학실력을 비교하면 전체 평균은 한국이 나을지 모르지만 상위 그룹에서는 미국 학생이 나을 것이다.

▽계교수〓기술력을 주도할 학생들의 수학 실력 저하가 계속된다면 피해는 몇 세대에 걸쳐 나타날 것이다. 100년 전에 나라를 잃은 것도 세계 조류를 알지 못하고 기술력에서 뒤졌기 때문이다. 미국이 우주전쟁에서 소련을 누르게 된 것과 인도가 정보통신 강국이 된 것은 국가가 학생들의 기초학력 향상을 위해 뒷받침했기 때문이다.

<박용기자>parky@donga.com

▼NYT '미전통적교육 방법 붐'보도▼

영어 필기체 쓰기, 구구단 암기, 철자 테스트…. 이런 것들은 일반적인 미국의 교실에서는 크게 강조되지 않는다. 교육의 목표가 단순한 지식습득이 아니라 개개인의 소질을 감안한 인성함양 등에 초점이 맞춰지면서 전통적인 교육에서 중시되던 이 같은 학습방법은 진부한 것으로 간주돼 왔다.

그러나 최근 현대적인 교육이 가져온 학생들의 학습능력 저하에 실망한 학부모들을 중심으로 전통적인 교육방법으로 회귀하는 ‘조용한 반란’이 진행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가 28일 1면 기사로 보도했다.

타임스는 “버지니아주의 페어팩스카운티, 시카고 교외, 뉴햄프셔주의 하노버 등 부유하고 교육여건이 뛰어난 지역을 중심으로 강력한 반란이 일어나고 있다”면서 “이 지역의 학부모들은 암기와 학습내용에 대한 강조 등 다른 곳에서는 싫어하는 학습의 기초를 원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예를 들어 학부모들은 자녀가 학교에서 2차대전 중 독일이 저지른 유대인 대학살인 ‘홀로코스트’는 배워도 2차대전 자체가 무엇인지에 관해선 제대로 배우지 못하는 데 실망했다는 것. 학교 교장에게 교과과정 개편을 요구하다가 지친 학부모들은 가정교사나 학원을 통해 자녀의 학습을 보충하거나 아예 전통적인 학습을 표방하는 특수학교로 눈길을 돌리고 있다.

뉴저지주의 프린스턴 차터스쿨에선 학생들이 전통적인 철자 발음법을 토대로 책 읽는 것을 배운다. 학생들은 영어의 운율을 익히기 위해 시를 암기해야 하고 매일 글짓기도 해야 한다. 방정식 등 수학도 매일 공부한다. 이 학교는 “교육목표는 지식습득이며 학생들에게 지식과 기술을 상당한 수준으로 숙달시키는 엄격한 교과과정이 있어야만 교육의 효율이 높아진다”고 주장한다.

<워싱턴〓한기흥특파원>eligius@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