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피적으로만 보면 정풍 운동의 중심임을 자임하며 당과 청와대 안팎의 동교동계 구주류를 공격하는데 앞장섰던 정동영(鄭東泳) 최고위원의 부상이 두드러진다.
정 최고위원은 지난해 12월 ‘반(反) 권노갑(權魯甲) 공세’에 이어, 다시 한번 당정쇄신이라는 명분을 등에 업음으로써 경력과 인지도가 엇비슷한 동료, 선후배 정치인들 사이에서 한 발 먼저 치고 나간 셈이 됐다.
그러나 김대중(金大中) 대통령과의 면담 약속 성사 여부를 놓고 불거진 ‘거짓말 시비’로 도덕성에 상처를 입은 점, 여전히 여권의 대 주주인 동교동계의 주적(主敵) 1호임이 확인됐다는 점으로 인해 “얻은 것보다는 잃은 것이 더 많을 것”이라는 일각의 지적도 있다.
정 최고위원과 대립각을 이뤘던 김민석(金民錫)의원에게는 반대의 평가가 가능하다.
소장파들의 집단행동을 만류하면서 동시에 청와대의 일부 참모들에 대해 일격을 날린 한화갑(韓和甲) 최고위원은 수혜자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당의 한 핵심 관계자는 “한 최고위원이 이런 입장을 취함으로써 소장파와 동교동 구주류 사이를 조정할 인물로 자신을 이미지화한 것은 나쁘지 않은 선택이었다”고 말했다.
김중권(金重權)대표는 김 대통령의 재신임을 통해 위기를 기회로 반전시키는데 성공했다는 것이 일반적 평가이나, 자신의 치명적 약점인 정체성(正體性)의 문제가 다시 한번 부각됨으로써 오히려 내상(內傷)은 더 컸을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김 대표의 득실은 민생·개혁법안 처리 등 난제가 산적한 6월 임시국회 이후에야 따져볼 수 있을 듯 하다.
권노갑 전 최고위원을 비롯한 동교동계 구주류인사들은 다시 상처를 입었다.
이들은 일부 소장파들이 “정치적 목적을 위해 권 전 최고위원을 다시 걸고 넘어지고 있다”고 항변했지만 정권 창출 세력으로서 영광은 물론 오욕도 함께 해야 한다는 점에서 보면 비난받고 상처입는다는 것은 피할 수 없는 멍에와 같다고 할 수 있다.
<윤영찬기자>yyc11@donga.com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