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학교가 신세대 학생들의 변화에 발맞춰 변하지 못하면 학교붕괴 현상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김동춘 성공회대 교수는 25일 서울 종로구 세종로 세종문화회관 콘퍼런스홀에서 한국교육개발원과 동아일보사가 공동 주최한 ‘공교육 위기의 해부-실체와 원인진단’ 교육포럼에서 이 같이 주장했다.
김 교수는 주제발표에서 “공교육 문제는 학력의 사회적 비중을 낮춰야만 해결할 수 있다”면서 “민주주의 신장, 인권의 존중, 소외계층의 정치 참여 등이 수반되지 않으면 학력 추종주의는 절대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대학의 서열구조를 타파하기 위해 서울대를 개편 또는 해체하고 상대적으로 교육수준이 낮은 국립대를 평준화 또는 특성화해야 한다”면서 “다양한 인재들이 교직에 들어올 수 있도록 사범대를 폐지하고 교육대는 폐지하거나 개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혜영 한국교육개발원 선임연구위원은 ‘신세대 등장과 학교의 문화지체’라는 주제발표에서 “학생들이 변하는 만큼 학교가 변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교사의 권위 추락, 사기저하를 학교 붕괴의 원인으로 생각하는 교사가 많은 한 이 같은 현상은 계속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위원은 이어 “학생의 교사에 대한 반발은 획일적이고 형식적인 학교 교육에 대한 반발인 만큼 해결책은 ‘변화’밖에 없다”고 말했다.
정진곤 한양대 교수는 “학교의 위기는 바로 국가 공교육 체제의 위기이며 이는 체제의 경직성, 관료성, 획일성이 그 원인”이라며 “선진국은 교육투자를 획기적으로 늘리고 있는데 우리는 아직도 키가 170㎝인 학생들이 키가 150㎝인 학생에게나 맞는 책걸상을 쓸 정도로 교육투자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인철기자>inchul@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