탬파시 경찰은 최근 36대의 감시 카메라를 유흥가인 이보르시티 지역에 설치해 운용중이다. 카메라는 하루 최대 15만명을 촬영해 메인 컴퓨터로 전송하며 메인 컴퓨터는 눈썹 눈 코 입술 턱의 크기와 모양 등 얼굴 부위의 80가지 요소를 이미 입력된 3만여명의 수배자 얼굴과 비교한다. 수배자가 검색될 경우 인근 경찰차로 즉각 연락해 체포에 나서게 한다.
버지니아주 버지니아비치시도 최근 이 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해 15만달러(약 1억9500만원)의 예산을 시의회에 요청해 놓은 상태다.
미국 경찰의 이 같은 움직임에 시민단체들은 인권침해라며 크게 반발하고 있다. 미국자유인권협회(ACLU)는 19일 “이들 카메라들의 진정한 용도가 무엇인지는 공개되지 않았다”며 “누군가 시민의 사생활까지 모두 포착하려 들면 제지할 방법이 없다”고 비판했다. 미국 인권 변호사인 매트 펜튼도 이 시스템이 위헌 요소가 있어 제소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탬파시 시민들은 15일 “얼굴 인식 카메라는 시민들의 얼굴을 ‘바코드’로 만들어 감시하는 ‘빅 브라더’”라며 시위에 나섰다. 이들은 방독면이나 가면을 쓴 채 감시 카메라 앞을 돌아다니며 “우리는 자유 국가에서 ‘가택 연금’ 상태에 있다”고 경찰 조치를 비난했다. 시민들이 반발하자 얼굴 인식 시스템의 도입을 지지했던 탬파시의회 의원 일부도 방침을 바꿨다.
<권기태기자>kkt@donga.com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