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달새가 우짖는 봄, 강 조개를 잡으며 멱을 감던 여름, 모래밭에서 쭈욱 뽑아 올리면 크고 작은 땅콩이 주렁주렁 달려 탄성을 지르게 한 가을, 얼어붙은 한강이 더 살이 찌느라 밤새 쩡쩡 소리를 내어 솜이불을 더 깊숙이 뒤집어썼던 차가운 겨울 밤의 추억들…. 추억은 지금 내 볼에 눈물이 되어 쉬임 없이 흐르고 있다.’
지금은 없어진 한강의 마포 갯나루터에서 그 시절을 잊지 못해 ‘마포나룻터’라는 양곱창구이집을 경영하는 박은숙씨(54, 02-703-8688)의 글이다. 그녀는 밤섬 출신으로 밤섬이 그리워 고향 언저리에서 한강을 건너다보며 흔적도 없이 사라진 마포 갯나루에 살고 있다. 마포 서강초등학교 17회 졸업생으로 1968년 한 해 전에 떠나와 지금껏 이곳에 살고 있다. 당시 밤섬은 4만7000평에 62가구가 거주한 벌족한 동네였다. 수양버들 그늘이 아늑하고 겨울엔 얼음썰매를 타고 청둥오리 떼를 쫓으며 살았다. 맛기행이니 음식 이야기를 해야 하는데도 박씨는 줄곧 밤섬 타령이다.
‘양’이란 양고기가 아니라 소의 양(月羊)으로 첫째, 둘째의 위(胃)를 말한다. 둘째 위는 벌집 모양으로 생겨 ‘벌집양’이라 부르기도 한다. 그리고 셋째 위는 ‘처녑’이라고 한다. ‘고려사’ 기록에는 ‘마계량(馬季良)이 소의 양을 즐겨 구워 먹었다’고 되어 있다. 한국인의 맛에 대한 명칭으로는 단연 쇠고기가 으뜸인데 그 부위 명칭만도 140여 개를 상회한다. 이에 비해 아프리카 보디 족이 45개 정도, 영국이 고작 25개 부위 정도다. 넷째 위(실제로는 위가 아님)는 ‘막창’이라 재미가 없다.
양구이·양탕·양죽은 옛날 유생(儒生)들이 허약한 몸을 추스르고 원기를 회복하는 데 아주 좋은 음식이었다. 그래서인지 1592년 4월 임란(壬亂) 당시 옥천에서 의병을 일으켜 청주성을 수복한 중봉 조헌 선생 가문의 내림 손맛으로 지금까지 유명한 것이 이 양탕과 양죽이다. 또 양의 두꺼운 줄기 부분을 ‘깃머리’ 또는 ‘돈두레’라 하여 구이로는 가장 맛있는 부위지만 오래 구우면 질겨 맛이 없어진다. 또 양을 삶아 얇게 저며내어 부치기도 하고 날로 곱게 다져 양념해 한 수저씩 떠서 부치기도 하는데 이를 ‘양동구리’라고도 한다. 또 ‘주찬’에 기록한 내용으로는 양의 내외피를 벗기고 길이와 너비가 두 치 정도로 얇게 썰어서 칼날로 자근자근 저며 녹말가루를 입히면 고급스런 ‘양만두’가 되기도 한다.
‘마포나룻터’의 양구이는 숯불에 살짝 구워 특별한 소스에 찍어먹는 맛이 혀에 감칠맛 나게 앵긴다. 소스는 파인애플과 사과를 배합하여 특별히 개발한 ‘노하우’란다. 그녀는 특히 양고기는 퇴원 후 보양음식으로 콜레스테롤이 적다고 덧붙인다. 한우의 양(위)이라 해봐야 마리당 겨우 150kg 정도. 물량을 따오기란 ‘전쟁’이라고 그녀는 표현한다.
양구이를 들고 마포 강둑에 나가본다. 멀리 밤섬이 떠 있다. “한강 빙어는 내 것이다”고 소리친 미수 허목(許穆) 대감의 식담과 더불어 한강에 ‘황복’이 오를 날을 손꼽아 기다린다.
여름에는 거룻배를 타고 강 건너 학교에 다녔고, 홍수가 나면 미군 헬리콥터가 우유와 밀가루까지 공수했으며, 샘물이 나지 않아 통학길 뱃전에서 물을 쥐어 마셨다는 박은숙씨. 송사리떼, 모래무지떼가 20m 수심에서 노는 것이 좋았더라는 박은숙씨. 나루터 위쪽에 위치한 여의도까지 썰물 때는 걸어갔고 땅콩밭을 지키며 감자꽃을 꺾어 머리에 꽂고, 먹때왈(딸기) 물을 입술에 함뿍 적셨더라는 박은숙씨. 오늘도 마포 갯나루를 지키며 사는 그녀는 ‘철새 모이주기’모임을 이끌기도 하는 의식 있는 여인이기도 하다.
새우젓 독이 줄줄이 줄을 서고 황포돛대가 바람을 타던 시절, 멀리 강원도의 정선 골짜기에서 띄운 뗏목이 남한강을 굽이쳐 온 뗏목꾼들의 아라리도 없는 마포 갯나루, 지금 한강은 어떻게 변하였는가.
◇ Tips
허목(許穆)
본관이 양천인 조선 중기의 학자·정치인으로 자는 문보, 호는 미수다. 현감 교(喬)의 아들이며 이원익(李元翼)의 손녀사위다. 경기도 연천이 향리이고, 서울에서 성장하였지만 영남 남인의 거두 정구(鄭逑)에게 학문을 배웠다. 저서로는 문집 ‘기언’(記言)과 역사서 ‘동사’(東史) 등이 있다.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