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1년 당시 소련 붕괴 일지 | ||||
91년 8월 19일 | 군과 KGB가 중심이 된 보수파,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대통령을 연금하고 비상사태 선포 | |||
8월 21일 | 보리스 옐친 러시아 대통령이 이끄는 시민 저항으로 쿠데타 실패 | |||
8월 24일∼9월 6일 |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를 시작으로 소연방 15개 공화국 차례로 독립 선언 | |||
12월 8일 |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로루시, 독립국가연합(CIS) 창설 선언 | |||
12월 27일 | 고르바초프 대통령 사임. 소련 해체 |
▽시장 개혁의 명암〓구 소련 공화국들은 독립 후 사회주의 체제를 포기하고 시장경제를 도입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심각한 경제적 사회적 혼란을 겪으며 경제가 후퇴해 대부분의 국가가 91년 이전의 국내총생산(GDP) 수준을 아직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이들 국가는 경제 개혁 추진 속도에서 차이를 보여 에스토니아 등 발트 3국과 러시아 카자흐스탄 등은 가격자유화와 사유화 등 비교적 급진적인 개혁을 추진해 시장경제가 정착됐다. 그러나 벨로루시 우크라이나 우즈베키스탄 등은 아직 사회주의식 계획경제의 틀을 지키고 있어 서방측으로부터 ‘개혁 지체국’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구 소련 시절에는 국가계획위원회(고스플란)의 통제로 전 연방의 물가나 임금 등 경제 수준이 비슷했다. 그러나 10년 만에 각국의 경제적 격차는 크게 벌어졌다. 가장 부유한 에스토니아의 경우 구매력 기준(PPP)으로 1인당 GDP가 5500달러나 되지만 최빈국인 키르기스스탄은 200달러도 되지 않는다.
구 소련 15개 공화국 현황 | ||||
국 가 | 인구(만명) | 1인당 국민소득(달러·2000년) | ||
러시아 | 14,600 | 1,249 | ||
우크라이나 | 4,950 | 304 | ||
벨로루시 | 1,020 | 777 | ||
카자흐스탄 | 1,500 | 1,058 | ||
우즈베키스탄 | 2,400 | 304 | ||
에스토니아 | 150 | 2,564 | ||
라트비아 | 280 | 2,582 | ||
리투아니아 | 370 | 2,880 | ||
아제르바이잔 | 760 | 499 | ||
아르메니아 | 370 | 486 | ||
그루지야 | 540 | 517 | ||
몰도바 | 430 | 271 | ||
키르기스스탄 | 480 | 264 | ||
투르크메니스탄 | 470 | 619 | ||
타지키스탄 | 610 | 382 |
▽더딘 민주화와 정치 불안〓공산당 1당 독재체제가 무너지고 의회와 다당제가 도입되는 등 민주화가 진전됐지만 여전히 언론 탄압과 권위주의적인 통치가 일반적이다. 특히 벨로루시와 우크라이나 등에서는 언론인과 야당 지도자가 살해되는 등 철권통치가 이뤄지고 있다.
중앙아시아에서 이슬람 원리주의 세력이 커지면서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에서는 이슬람 반군과의 무력분쟁이 끊이지 않고 있다. 소수 민족의 분리독립 움직임도 활발해 러시아에서는 체첸전이 일어났고 그루지야도 독립을 요구하는 압하스 때문에 골치를 썩고 있다. 아르메니아에서는 99년 10월 의회에 난입한 테러범들이 총리를 살해하는 등 정치적 혼란이 계속되고 있다.
▽재통합과 분열 움직임〓러시아를 중심으로 다시 뭉치려는 움직임과 오히려 러시아권에서 이탈해 독자적인 길을 가려는 움직임이 엇갈리고 있다. 러시아와 벨로루시가 98년 국가연합을 결성했고 여기에 카자흐스탄 등 3개국이 가세해 6월 유라시아경제공동체를 구성했다. 반면 우크라이나 그루지야 등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와 유럽연합(EU) 가입을 추진하는 등 탈(脫) 러시아 시도가 활발하다.
구 소련 공화국 중 발트 3국을 제외한 12개국이 만든 CIS는 역내 협력은커녕 회원국간의 분쟁조차 해결하지 못하는 무기력한 모습을 보여 ‘해체론’까지 나오고 있다. 특히 아제르바이잔과 아르메니아는 독립 직후부터 나고르노카라바흐 지역을 둘러싼 영토 분쟁을 벌여 지금까지 2만여명의 사상자를 냈다.
<모스크바〓김기현특파원>kimkihy@donga.com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