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오염은 하천오염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으므로 최근의 적조 파문은 이 지역의 젖줄인 형산강의 오염실태와 보호정책의 현주소를 짚어 보게 한다.
포항과 경주 등 영남권의 여러 지방자치단체를 끼고 흐르는 형산강 63㎞의 수계에는 고인돌을 비롯한 수많은 문화유적이 전 세계적으로도 손꼽힐 정도의 밀집도를 기록하고 있어서 이 강이 필수적인 삶의 조건들을 골고루 갖추고 있음을 입증하고 있다. 그래서 이 강을 끼고 신라 천년 역사가 꽃피었고 하구에서는 포항제철이 산업화를 선도하게 된 것이다.
하지만 발전의 이면에서 형산강은 도시의 생활하수, 상류로부터 시작된 축산업 폐수, 중류 이하의 공업폐수 등으로 인한 오염에 시달려 왔다. 더 심각한 문제는 이 강이 흐르는 자치단체들 사이에 오염 방지와 수질 개선에 관한 협조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하류에 위치한 포항시는 수계의 80%를 차지하는 경주시가 오염 방지 노력을 기울여 줄 것을 요구하고 경주시는 시민의 산업활동 보장 등을 이유로 포항시에 환경오염 시설에 대한 예산 할애를 요구하고 있다. 자치단체들의 이런 부조화 와중에서 형산강 오염은 가속화되고 지역민의 삶의 기반은 위협받고 있다.
과연 어디서부터 이 복잡한 문제의 실마리를 풀어나가야 할까. 우선 공무원들만 참여해 온 형산강 관련 정책협의 자리에 시민단체 등 민간을 동참시켜야 한다. 지난주에 경주와 포항의 민관합동 형산강 탐사가 화제를 모은 것처럼 형산강의 오염 실태를 두 도시의 시민단체와 공무원이 공동으로 확인하고 상호협력의 당위성을 절감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역기업들도 재정지원을 해주는 방식 등으로 동참시켜 환경파괴 책임에 대한 시비도 줄이고 환경보전에 대한 기업의 의지를 확인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이재섭(포항사회연구소 소장·오천고 교사)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