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전 총장의 형제가 저지른 브로커 행각을 살펴보면 한숨이 절로 나온다. 신씨는 이용호씨 회사에 출근 안 하는 ‘명함’ 사장으로 취직해 6600여만원을 받고 검찰 간부들을 만나 전별금을 주었다. 신씨가 보유한 검사 명단에는 이 게이트와 관련된 정황이 있는 검사가 여러 명 들어 있다는 것이 특검팀의 수사 결과다.
구속영장에 따르면 신씨는 금융감독원 자산관리공사 은행 간부들을 만나 이 게이트와 관련한 청탁을 하고 돌아다녔다. 누나가 사채업자의 돈 3억원을 받고 이 중 1억원을 건네주자 국세청장을 찾아가 부탁했다. 검찰총장의 형제자매가 검찰 국세청 금감원 은행 등을 이렇게 휘젓고 돌아다니며 권세를 부리고 청탁을 할 수 있는 것이라면 대검에도 총장의 친인척을 관리하는 부서를 두어야 할 판이다.
신 전 총장은 신씨에 대한 대검 중앙수사부의 수사가 진행 중일 때 “자식도 마음대로 못하는 세상에 어떻게 동생 문제까지 책임지느냐”고 말했다. 지금에 와서도 그런 말을 자신 있게 할 수가 있겠느냐고 묻고 싶다. 권한이 막중한 고위 공직자는 스스로 몸가짐을 바르게 가져야 함은 물론 일가권속을 엄격하게 관리해야 할 책무가 있다. 자식이나 동생을 마음대로 할 수 없는 것이 세상이지만 그들이 호가호위(狐假虎威)의 잘못을 저질렀을 때 관리책임을 져야 하는 것이 공직의 세계다.
친인척 관리를 잘못하는 바람에 검찰총장이라는 출세의 자리가 한순간에 집안의 불행으로 바뀌었다. 불명예 사퇴를 하고 특검에 불려가 조사를 받게 된 신 전 총장에게 일견 가혹해 보이는 이야기를 하는 것은 다른 고위 공직자들이 교훈으로 삼으라는 뜻에서다.
구독
구독 177
구독 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