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총장을 대변하는 입이라고 할 수 있는 대검 공보관이 이수동씨의 진술 내용을 일부 공개하며 수사기밀 누설혐의와 관련해 현직 고검장을 지목한 것은 이례적이다. 이수동씨가 가족 면회에서 “수사상황을 말해준 검찰 간부를 밝히지 않을 수 없게 됐다”고 말해 더 이상 보안유지가 어렵다는 판단을 내렸을 수도 있다. 예상되는 고검장의 반발을 누르고 못을 박아두려는 검찰 수뇌부의 의도가 작용했을 가능성도 있다.
여하간에 김대웅(金大雄) 고검장이 서울지검장으로 있을 때 이수동 전 상임이사에게 이용호(李容湖) 게이트와 관련된 수사기밀을 알려준 것이 사실이라면 이것은 피의자에게 증거인멸 또는 도주의 기회를 제공한 것이다. 이수동씨 정도의 위치에 있으면 사전에 수사기밀을 탐지하고 요로에 힘을 써 없던 것으로 만들려는 시도를 했을 법도 하다.
이씨는 미국으로 출국하기 직전 김대웅 당시 서울지검장과 여러 차례 통화한 기록이 드러나 출국했다가 자신에게 불똥이 튀지 않으리라는 확신이 서자 귀국했다는 추정을 해볼 수 있다. 실제로 대검 중수부 수사에서 이수동씨 부분은 묻혔다가 차정일(車正一) 특검의 수사를 통해 드러났다.
‘걱정스러운 마음에 통화를 했을 뿐’이라는 김 고검장의 변명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더라도 검찰 간부로서 윤리와 복무 규정에 명백히 어긋나는 일이다. 정치권력의 사선 변호인으로 자임하는 정치검사의 문제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이번 사건 수사는 검찰의 정치적 독립을 가름하는 시금석이 될 것이다. 김 고검장은 사퇴하고 조사에 응해 진실 규명에 협조해야 한다.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