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는 이륙 후 3분, 착륙 전 8분이 가장 위험하다는 것이 항공사고 통계로 나타난 결론이다. 역대 항공사고 발생 시간을 살펴보면 ‘마의 11분’ 동안에 전체 사고의 70∼80%가 발생했다는 것이 항공계의 분석이다.
15일 중국 민항기의 추락 사고도 이 통계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사고기는 착륙하기 위해 항공기 고도를 낮춰 저공비행을 하는 도중 추락했다.
97년 괌 공항에서 언덕에 충돌해 추락한 대한항공 여객기도 활주로를 바라보며 착륙을 시도하던 중에 참사를 당했다.
80명이 숨진 89년 대한항공 트리폴리공항 추락사고와 93년 7월 전남 해남군 마천부락에서 발생해 66명의 목숨을 앗아간 아시아나항공 보잉 737기 사고도 착륙 직전 발생했다.
이처럼 이륙 직후 또는 착륙 직전이 위험한 것은 항공기가 이착륙을 하는 동안에는 조종사의 제어능력 범위를 벗어나기 때문.
이륙할 때는 최대의 힘을 내야 하기 때문에 이륙 후 5분 이내에 기체결함이나 위험상황을 발견하더라도 운항을 중단하는 데는 속수무책이라고 항공 전문가들은 말한다. 항공기가 온 힘을 다해서 떠오르는 중이어서 긴급 상황에 대한 대응여력이 없다는 것.
또 착륙 8분 전에는 이미 비행능력 이하로 출력을 떨어뜨린 상태이기 때문에 갑작스러운 위기상황이 발생하더라도 기수를 높이는 데 한계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이와 함께 이착륙 때 기류 변화가 많다는 점도 사고 발생이 많은 원인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활주로 주변의 지형과 불규칙한 공기 흐름 때문에 이상 기류에 휩싸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특별취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