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당당하게 재혼합시다' 공동저자 장혜경-박경아씨 대담

  • 입력 2002년 4월 26일 18시 16분


장혜경(왼쪽) 박경아씨가 '당당하고 행복한' 재혼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장혜경(왼쪽) 박경아씨가 '당당하고 행복한' 재혼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결혼한 커플은 32만 1000쌍, 이혼한 커플은 13만 5000쌍. OECD 30개 회원국 중 네 번째로 높은 이혼율이다. 재혼도 따라 늘어 2000년 기준으로 스무 가정 중 세 가정은 재혼가정이다. 신간 ‘당당하게 재혼합시다’(조선일보사)의 공동저자인 장혜경 박경아씨가 동아일보사 일민라운지에서 만나 ‘당당한’ 재혼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미혼인 장씨는 미국 UCLA에서 지역 및 가족사회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뒤 한국여성개발원 가족보건복지연구부장으로 재직 중. 신문기자 출신인 박씨는 이혼과 직장 동료와의 재혼을 거쳐 단란한 가정을 꾸리고 있다.

▽장〓반갑습니다. 책이 나오고 난 뒤로는 첫 만남이네요.

▽박〓최근 ‘잠재적인 재혼 후보자’는 크게 늘었습니다. 그렇지만 재혼에 대한 논의 자체는 활발한 분위기가 아니었죠. 지금까지 이혼에 관한 책들도 개인적인 경험담 위주였구요. 이 책이 새로운 인생을 설계하는 이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장〓우리나라 통계를 보면 재혼자의 이혼율이 다른 나라보다 높습니다. 핵가족 위주의 혈연 중시 사회에서 자녀들이 심리적 사회적으로 갈등을 겪는 것이 큰 이유인 것 같아요.

▽박〓우리나라 가족제도의 특징은 혈연중심 부계중심이라는 데 있죠. 아이를 가지고 재결합한 가정의 경우 대부분 아이들의 성(姓)이 서로 달라 주변의 놀림감이 되기 쉽습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친양자(親養子) 제도 등의 도입이 적극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것은 바람직한 일입니다.

▽장〓친양자제도는 원하는 사람들을 위해 허용해야 한다는 데 찬성입니다. 그러나 이것이 궁극적인 해결책은 될 수 없겠죠. 예를 들어 아이가 장성한 뒤 원래의 성을 찾고 싶다고 한다면, 다시 문제가 야기될 수도 있거든요.

▽박〓말씀하신 것처럼 친양자제도는 과도기적으로만 의미를 가질 것입니다. 보다 중요한 것은 의식의 변화인 것 같아요. 한 가정에 여러 성이 공존할 수 있다는 의식의 변화 말입니다.

▽장〓물론 의식의 변화만으로 해결되지 않는 제도적 부분이 상존하는 것은 틀림없지만요.

▽박〓현행 호주제로 인해 아이의 급식 통장을 만드는 것까지 친부를 찾아가야 되는 일이 생기죠. 아이가 아빠라고 부르는 양부는 주민등록상 동거인에 불과하구요. 이런 부분을 내버려둔 채 의식만 바꾸자고 하는 얘기는 물론 아닙니다. 제도를 개선하는 것은 사회적으로도 이익이 될 것입니다. 재혼에 대한 걸림돌을 제거하는 것은 가정의 복원을 불러올테니까요. 미국 프랑스도 재혼율이 증가해 아이들의 피해가 최소화됐거든요.

▽장〓원칙적으로 맞는 말씀이지만, 이제는 꼭 재혼을 통해서 가족을 유지해야 하는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이제는 남녀 누구든지 자녀도 키우고 경제적으로도 자립할 수 있다면 부모중 한쪽만 있는 ‘한 부모’ 가족도 긍정적인 차원에서 바라봐야죠.

▽박〓주변에서 성공한 재혼들의 사례를 보면, 결국 ‘조건’보다 ‘사람’을 믿고 의지하는 결합이 성공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비단 재혼뿐만이 아니라 모든 사랑과 결혼이 마찬가지겠죠.

▽장〓재혼을 원하는 어떤 남성은 ‘이혼한 부인이 B대를 나왔으니 재혼 상대는 그보다 나은 A대 이상은 나온 사람이어야겠다’라고 고집하기도 하더군요. 그런 자세로 하는 재혼이 성공할까요.

▽박〓예를 들어 자녀를 데리고 재혼한 사람이라면, ‘저사람은 이 아이와 혈연도 없는데 받아들여 주었구나’라는 작은 감사에서부터 출발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작은 것부터 고마워하는 자세가 새 가족의 행복을 가져올 걸로 생각합니다.

정리〓유윤종 기자 gustav@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