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이러한 표면적 성과를 거론하기에는 그 구체적 내용과 실천 의지에 대한 확신이 아직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올 2월 국회는 국회법을 개정해 국회의장이 당적을 버리도록 했다. 의장이 중립적 입장에서 대의기관인 국회를 끌어나가도록 한다는 취지다. 그런데도 한나라당과 민주당은 그동안 서로 의장직을 차지해야 한다고 맞서왔다. 그 이유로 한나라당은 원내 제1당을, 민주당은 실질적인 여당을 각각 내세웠다. 개정한 국회법의 정신은 뒷전이었다. 그러다가 6·13 지방선거에서 승리한 한나라당이 자유투표를 하자고 나섰고 민주당이 어제 그를 수용키로 한 것이다.
이런 과정을 보면 두 당이 국회법 정신보다는 여전히 당리당략을 저울질하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상징적인 의미인 국회의장을 내주는 대신 연말 대통령선거에서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행정자치위원장 등 주요 상임위원회위원장 자리를 받자는 ‘계산’이 그것이다.
국회의장을 자유투표로 선출하더라도 그런 ‘계산’이 작동하면 국회 원구성은 다시 늦어질 수 있다. 그래서는 안 된다. 뒤늦게 국회 정상화를 하기로 했으면 빨리 해야 한다. 그렇지 않아도 국회가 한달 이상 마비되면서 민생과 직결되는 여러 법안 처리가 늦어졌다. 그 폐해는 국민에게 돌리면서 세비는 꼬박꼬박 챙긴 것이 의원들이다.
닷새 후면 월드컵도 끝난다. 이제 정치권이 국민에게 희망을 줄 수 있어야 한다. 국민을 위한 정치의 모습을 보여야 한다. 국회 원구성을 서두르는 것도 그중 한 가지다. 더 시간을 끌어서는 안 된다.
구독 274
구독 11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