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李明博) 서울시장은 23일 이 같은 내용의 ‘강남북 균형개발계획’을 발표하고 “성북구 길음동 624와 정릉동 380 일대 재개발지역 28만7000평을 주거중심형 단지로, 성동구 상왕십리동 440 일대 9만8000평을 도심형 단지로, 은평구 진관내·외동 구파발동 그린벨트 109만평을 신시가지형 단지로 개발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세 시범단지의 공식 이름은 ‘길음 뉴타운’, ‘왕십리 뉴타운’, ‘은평 뉴타운’으로 정해졌다.
▼관련기사▼ |
- 어떻게 추진되나 |
서울시 계획에 따르면 길음 뉴타운은 현재 밀집된 노후 불량주택을 재개발해 인구 4만명의 쾌적한 주거단지로 개발된다.
또 도심형 단지로 개발되는 왕십리 뉴타운은 주거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용적률과 건폐율 허용기준을 완화해 건물 층수를 높이며 청계천 복원과 연계해 개발이 추진된다.
은평 뉴타운은 자연환경 보전에 중점을 두고 용적률 건폐율 허용기준을 최대한 낮추어 주거 상업 생태 문화기능을 갖춘 쾌적한 신시가지로 개발된다. 이 지역 그린벨트는 내년 하반기에 해제될 예정이다.
2003년 6월 중 개발에 들어가 왕십리 뉴타운은 2006년, 길음 뉴타운은 2008년, 은평 뉴타운은 2010년까지 개발이 완료된다.
서울시는 이들 3곳 외에 20여곳의 뉴타운 후보지를 추가로 선정해 2012년까지 단계적으로 강북을 개발해 나갈 방침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우선 ‘도시개발 특별회계’ 3700여억원을 활용해 선(先)투자 방식으로 개발을 추진하고 투기 과열이 우려될 경우 즉각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할 계획이다.
이광표기자 kplee@donga.com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