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의 쟁점은 △정연씨 병적기록표 위변조 △97년 은폐대책회의 △이 후보의 부인 한인옥(韓仁玉)씨의 병역면제 청탁 및 금품 제공 △정연씨의 고의 감량 △군 검찰의 정연씨 병역비리 의혹 내사 등 5가지 의혹.
먼저 김대업(金大業)씨는 병적기록표 내용 중 수십 곳이 위변조됐다고 주장해 왔다.
검찰은 그러나 김씨가 지적한 위변조 흔적 가운데 상당 부분이 병역 관계 법령과 신검 규정에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예를 들면 유학을 사유로 한 입영 연기는 통상 2년 단위로 이루어지는데 정연씨는 3년 단위로 연기한 것으로 돼 있어 기록표가 위변조됐다는 의혹이 제기됐으나 정연씨는 2년 단위 연기로 법이 바뀌기 전에 규정에 맞게 입영을 연기한 것으로 확인됐다는 것이다.
검찰은 “다른 병역면제자 2000명의 병적기록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60%에 해당하는 1200명의 기록표에서 정연씨의 기록표에서 발견된 오기 누락 등과 비슷한 사례 1∼5개씩이 발견됐다”고 밝혔다.
검찰은 또 97년 대선을 앞두고 병역면제 의혹이 정치적인 쟁점으로 부각되자 김길부(金吉夫) 전 병무청장이 이 후보측 인사들을 만나고 청와대와 총리실 등을 방문해 병역면제 문제를 보고 또는 설명했지만 이는 병역비리 은폐와는 무관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김대업씨는 병역면제 청탁 및 금품 제공 의혹을 입증할 증거라며 제출한 녹음 테이프 2개를 99년 3, 4월에 녹음했다고 진술했으나 검찰은 테이프의 생산 시기가 각각 99년 5월과 지난해 10월로 확인되는 등 테이프의 증거 가치가 없다고 설명했다.
또 김대업씨는 올 5월 참여연대 이모 실장에게 맡겼던 테이프를 8월 돌려받아 제출했다고 주장했지만 이 실장은 김대업씨에게서 테이프를 전달받은 적이 없다고 진술했다는 것이다.
검찰은 테이프 녹음 보관 제출 과정에 대한 김대업씨의 주장에 일관성 및 신빙성이 없다고 밝혔다.
검찰 관계자는 “김대업씨가 병역면제 과정에 변모 전 헌병 준위가 개입했다고 주장했지만 변 전 준위는 전면 부인하는 진술을 했고 테이프가 증거가치가 없는 상태에서 병역면제 청탁 및 금품 제공 의혹 수사를 진행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군 검찰의 내사 의혹과 관련해 김대업씨는 99년 군 검찰이 전 국군수도병원 김도술씨에게서 정연씨 병역면제 과정에 개입했다고 시인한 간이 진술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검찰은 그러나 99년 1월 김도술씨가 작성한 간이 진술서를 입수해 확인한 결과 이 사건과 관련된 내용은 전혀 없었다고 밝혔다.
병역면제 의혹 사건 수사 쟁점 및 결론 | |
의혹 쟁점 | 수사 결론 |
병적기록표 위변조 및 신검부표 파기 | 기록표 내용 오류 및 누락 의혹 제기는 법령 오해로 인한 것 또는 기록표 작성 업무 불철저의 결과로 위변조 아님, 정상적인 절차에 따라 부표 파기 |
병역면제 비리 은폐대책회의 | 병무청과 이 후보 측 인사들 만난 적 있지만 은폐 대책회의는 아닌 것으로 확인 |
한인옥 여사의 금품전달 | 김대업씨가 금품전달의 증거라고 제출한 녹음 테이프의 증거 가치가 없고 다른 증거도 없음 |
정연씨 고의 체중감량 | 체중으로 병역면제를 받기 위해 노력했을 가능성 있음 |
군 검찰의 정연씨 병역면제 내사 | 병역면제 관련 김도술씨의 간이 진술서 미확인, 관련 첩보는 있었지만 내사 진행 안됨 |
![]() |
이명건기자gun43@donga.com
정위용기자 viyonz@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