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을 거의 다 살아버린 나이에도 열정이 찾아올까. 소설 ‘마른꽃’의 주인공은 열정이 없는 늘그막에 낯선 상대를 사랑하기는 불가능하다고 포기하지만, 70대의 사랑을 그린 영화 ‘죽어도 좋아’의 주연 박치규(73) 이순예씨(71)는 정 반대의 지점에 서있는 ‘행복한’ 커플이다.
“젊을 때만 재미있게 살고 나이 먹으면 그런 게 다 필요없을 줄 알았는데 그렇지 않더라니까. 혼자산 지 3년쯤 되니까 나도 사랑받고 싶다는 마음이 생겨. 자식들에게 그런 말은 못하지. 아마 딸이 ‘엄마도 좋은 사람 찾아가라’고 등 떠밀지 않았으면 엄두도 못냈을 거야.”(이순예)
노골적 성 묘사로 극장 개봉의 길이 막혀 논란이 됐던 ‘죽어도 좋아’는 문제 장면을 어둡게 처리한 뒤 ‘18세이상 관람가’를 받아 12월 6일 개봉을 앞두고 있다. 23일 폐막된 부산국제영화제에서는 관객상, 국제영화평론가협회상, 특별언급상 등 3개의 상을 받았다. ‘이제 개봉되는데 민망하지 않느냐’고 물었더니 두 사람은 입을 모아 “왜? 좋기만 하지. 우리는 ‘진실’만 보여줬기 때문에 부끄러울 게 없다”고 말한다.
3,4년 전 각각 배우자와 사별한 두 사람은 2년 전 한 노인복지관에서 처음 만났다. 3월14일 같이 살기 시작했다고, 날짜까지 정확히 기억하는 모습이 영락없는 ‘애인’들 같다. 다큐멘터리에 더 가까운 이 영화에서 두 사람은 사랑싸움에서 잠자리 장면까지 실제 삶을 그대로 연기했다.
이들이 ‘소재주의’의 희생양이 되는 건 아닐까, 더 이상 ‘관계’가 불가능해지면 마음도 시들지 않을까, 의심이 가득한 얼굴로 질문을 던지는 기자에게 이 노년 커플은 인생의 비밀을 알려주듯 한마디씩 했다.
“사람 인(人)자가 서로 받쳐주는 글자로 만들어진 것 마냥 사람은 늘 누군가에게 의지하고 살 수 밖에 없어. 혼자 사는 건 사는 게 아냐. 좋은 세월을 왜 허망하게 흘려 보내. 나중에 후회하지 않도록 즐기는 게 잘 사는 거라니까.”(박치규)
“청춘은 지나면 다시 안오고 오늘은 한번 가면 절대로 다시 안와. 인생이라는 거 살아보니까 허무한 거예요. 능력있고 힘있을 때 즐겨야지, 나중에 힘 빠지고 지치면 어쩌나 그런 걱정을 왜 해.”(이순예)김희경기자 susanna@donga.com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