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검찰 간부들은 연일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발(發)로 쏟아지는 검찰 개혁안에 신경이 곤두서 있다.
지난주에는 부패방지위원회 산하에 수사권을 지닌 권력형비리조사처를 설치한다는 소식이 들렸고 이번 주 초에는 검찰 인사위원회 위원 9명 가운데 재야 법조계와 시민단체 인사가 6명이 포함되며 기구의 성격도 심의 및 의결기구로 바꿀 것을 검토한다는 뉴스가 나왔다.
두 가지 모두 현행 검찰 조직의 근간을 뒤흔들 사안이다. 권력형비리조사처의 독립은 검찰만이 소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현행 기소독점주의를 무너뜨릴 수 있고 검찰 인사위 개혁안이 사실이라면 검찰 조직은 일시에 뒤흔들릴 수 있다.
따라서 아직 출범하지 않은 노무현(盧武鉉) 정부의 개혁안에 대해 검찰이 난감한 표정을 지으며 예민한 반응을 보이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기도 하다.
서울지검의 한 검사는 “검찰 외부 인사가 검찰 인사위에 들어가 검찰 인사를 결정한다면 외부 인사에 대한 객관성과 공정성은 누가 보장하느냐”며 개혁안에 대해 일침을 놓았다. 대검의 한 간부도 “검찰에서 누가 무슨 일을 했는지도 모르는 사람들이 검찰 인사에 개입한다면 그야말로 선무당 사람 죽이는 일”이라며 “말도 되지 않는 카드로 검찰을 시험하지 말았으면 한다”고 말했다. 새 정부의 출범으로 변화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지만 비전문가그룹이 이끄는 개혁에는 선뜻 동의할 수 없다는 것이 검찰 내부의 대체적인 기류인 것 같다. 분위기가 이렇게 흘러가자 일각에서는 인수위가 개혁안을 공식적으로 내놓기 전에 검찰 지휘부가 개혁을 먼저 추진하는 등 ‘선수(先手)’를 쳐야 한다는 말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김대중(金大中) 정부 5년 동안 숱한 편파 왜곡 수사 및 잘못된 인사 시비를 불렀던 검찰이 ‘선수’로서의 개혁이 아니라 진정으로 스스로 변화하려는 모습을 보여야 하지 않을까.
검찰은 인수위가 그런 개혁안을 들고 나오게 된 토양을 스스로 만들었다는 점을 인정해야 한다.
정위용기자 사회1부 viyonz@donga.com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