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인터넷에 익숙한 2030세대의 네티즌들이 대선 결과에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오자 이들에게 접근하기 위한 ‘전자정당화’를 정당 개혁의 주요 테마로 내걸고 있다.
그러나 전국의 유무선 인터넷 시스템 마비로 인한 ‘인터넷 대란’으로 네티즌은 물론 관련 업계가 패닉 상태에 빠진 25, 26일 정치권의 모습은 인터넷시대와는 너무 달랐다. 쇼핑몰 은행 PC방 등의 피해가 속출하자 ‘정보고속도로’의 대량 붕괴 및 유실에 대비한 근본 대책 마련을 호소하는 네티즌들의 비명이 홍수를 이뤘지만 각 정당은 그 흔한 논평 한마디 내지 않았다.
한나라당은 특히 27일의 대선 재검표 준비에 몰두하며 “해킹 등 구조적 부정을 집중 체크하겠다”면서 정작 인터넷 사고가 몰고 올 국가적 사회적 재앙에는 침묵했다.
민주당도 “한나라당의 재검표 요구는 국정 발목잡기도 부족해 국정의 허리를 꺾으려는 행태”라는 비난을 되풀이했을 뿐 인터넷을 통해 엄습한 ‘통신대란’의 심각성에 대해 고민하고 대책을 마련하려는 진지한 모습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물론 각 당의 이 같은 ‘인터넷 불감증’이 비단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다.
한나라당과 민주당은 지난해 5월 한 인터넷 사이트에 뜬 한나라당 이회창(李會昌) 후보 아들의 병역의혹을 둘러싸고 12월 대선 때까지 죽기살기로 싸웠다. 또 최근에는 인터넷에 뜬 ‘민주당 살생부’를 놓고 정파간에 얼굴을 붉혀가며 다퉜다.
그렇지만 이번에도 그랬듯이 정치권에 ‘인터넷’이라는 것은 오프라인상의 정쟁거리를 제공하는 곳으로밖에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다. 정치인들이 ‘정보화 입국’을 앞다투어 외치며 정책정당화를 슬로건으로 내걸고 있지만 2030세대 네티즌들이 ‘그들만의 구호’로 치부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정치권이 국민의 관심과 세태 변화를 제대로 읽지 못한다면 세대간 단절의 극복은 요원할지 모른다.
박성원기자 정치부 swpark@donga.com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