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역대 정부가 출범할 때마다 공직사회를 개혁대상으로 꼽은 것은 역설적으로 역대 정부의 공직사회 개혁이 번번이 실패했음을 의미하는 것임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그 과정도 대체로 비슷했다. 새 집권세력은 단숨에 공직사회를 변화시키려고 하지만 얼마 가지 않아 공직사회의 두꺼운 벽에 갇혀 순치되곤 했다.
현 정부가 공직사회에 경쟁원리를 도입하기 위해 의욕적으로 추진한 국장급 이상 고위직의 ‘개방형 임용제’가 유야무야된 것도 이 같은 실패사례에 속한다. 노 당선자측이 밝히고 있는 공직사회 개혁안도 현 정부의 개혁정책과 틀을 같이하는 만큼 실패의 원인부터 정밀하게 분석해보는 자세가 요구된다.
‘아무리 개혁적인 인사가 장관으로 와도 한달이면 공무원관이 180도 달라지게 된다’는 공직사회의 통설은 개혁의 이론과 실제에 차이가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는 시행착오를 거듭하다 몇 걸음 못 가 주저앉는 역대 정부의 어설픈 개혁에 대한 야유라고도 할 수 있다. 노 당선자측이 시민단체 인사들을 대거 공직사회에 수혈하려는 것도 공직사회의 배타적인 고리부터 끊기 위한 것으로 보이나, 몇 가지 명심할 점이 있다.
첫째, 인적 수혈은 충격요법에 지나지 않는다. ‘아래로부터의 개혁’을 이끌어내지 못하면 곧 한계에 부닥칠 수밖에 없다. 둘째, 공직사회에 새로운 실세그룹이 형성될 가능성이 있다. 그럴 경우 새 집권세력의 ‘우리사람 심기’로 비쳐져 공직사회의 갈등을 유발하게 된다. 무엇보다도 외부영입 인사들의 실무경험 부족으로 인한 국정혼선을 경계해야 한다. 국정의 안정성과 연속성은 개혁 못지않게 중요하다.
임채청기자 cclim@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