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국방비리는 더욱 엄단해야

  • 입력 2003년 4월 10일 18시 30분


국방회관 관리책임자(군무원)가 수년에 걸쳐 회관운영 수입금을 횡령해 현역 장성인 근무지원단장 등에게 뇌물을 상납했다고 한다. 장성 4명을 포함해 현역 군인이 8명이나 연루된 이번 사건은 국방부 내의 윤리의식이 과연 이 수준인가를 묻게 할 정도로 실망을 준다. 국가안보의 제일선에 있는 국방부가 언제까지 이 같은 부정비리 사건을 되풀이할 것인지 걱정이다.

이들이 99년 5월 이후 횡령했다는 자금이 장병들을 위해 사용되어야 할 군 복지기금이었다는 점에서 이들의 행위는 용서의 여지가 없다. 군 수사당국은 이들의 여죄를 철저히 밝혀내 엄단에 처해야 한다. 오늘도 국토방위에 몸과 마음을 바치고 있는 대다수 군 장병들을 욕되게 했다는 점에서도 부패 군인들에게는 엄정한 법 적용이 요구된다.

국방부는 2001년 문일섭 전 차관의 수뢰 등 그동안 부정비리 사건이 끊이지 않았음에도 폐쇄적인 조직특성상 부정비리의 실태가 바깥으로 잘 드러나지 않았다. 이번 사건도 거의 4년이 지나도록 왜 모르고 있었는지, 어떻게 국방회관 관리책임자였던 서모씨가 2년 이상 근무하지 못한다는 내부규정을 무시하고 이 자리를 계속 유지할 수 있었는지 의문을 던져준다.

더욱이 합동조사단은 이들에 대해 특정범죄가중처벌법이 적용되는 뇌물죄가 아니라 형량이 가벼운 횡령죄를 적용해 ‘봐주기 수사’가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국방부가 이처럼 ‘스스로에게 관대한’ 태도를 바꾸지 않는 한 국민의 신뢰를 받기는 어렵다.

국방부는 어제 부패방지위원회가 발표한 청렴도 지수에서도 전체 평균(6.4점)에 훨씬 못 미치는 5.29점을 받아 중앙부처 가운데서는 네 번째로 부패했다는 평을 받았다. 이 같은 불명예를 씻는 길은 확실한 자기혁신밖에 없다. 국방부는 이번 일을 계기로 내부감사 체계에 허술한 점은 없는지 재점검해야 한다. 국가안보라는 신성한 의무에는 더 높은 도덕률이 요구된다는 사실을 국방부는 다시 새겨 두기를 바란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