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당국이 초강경 조치를 취하는 것은 사스를 방치할 경우 국가기능 자체에 심각한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경제에 치명적 타격을 받고 있다. 사스로 인한 직접 피해액은 세계적으로 이미 300억달러를 넘어섰다. 비교적 피해가 적은 캐나다 토론토도 매일 3000만달러의 손실을 보고 있다고 한다. 한국도 직접 손실액 외에 홍콩으로부터의 외화차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국내에는 13명의 의심환자 외에는 아직 환자가 없다지만 중국 학교들의 휴교 조치로 유학생들이 대거 귀국하기 시작해 상황은 낙관적이지 못하다. 28일에만 1500명이 귀국하는 유학생들의 관찰이 끝날 때까지는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잠복기간이 10일인 점을 감안하면 지금부터 보름 동안에 사스방역의 성패가 판가름 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런 시점에 정부가 ‘긴급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사스 방역체계를 원점에서 재검토하기로 한 것은 늦은 감이 있지만 적절한 조치다. 내달 2일부터 진성환자는 완치될 때까지, 의심환자는 10일간 강제격리하기로 한 것은 인권침해 논란에도 불구하고 불가피한 일이라 하겠다.
하지만 지역이기주의로 말미암아 아직까지 사스 전담병원을 확보하지 못한 점은 큰 문제다. 내달 2일 이전에 입국하는 의심환자에 대해서는 강제격리를 하지 않겠다는 것인지도 불안하다. 정부는 이런 사소한 문제까지 철저히 점검해 사스가 국내에 발을 붙이지 못하도록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