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엑 사장과 1시간 남짓 이야기하다 보니 한국의 보통 최고경영자(CEO)와 많이 다르다는 느낌을 들었습니다. 예를 들면 이렇습니다.
그는 양손에 시계를 차고 있었습니다. 이유를 물어 봤더니 “처음 누군가를 만나 분위기가 어색할 때 이야깃거리를 만들기 위해서”라고 답하더군요. 그러면서 “스와치그룹의 회장인 나의 아버지는 양손에 시계를 2개씩 찬다”며 소리 내 웃었습니다.
옷차림은 캐주얼 차림이었습니다. 면바지에 줄무늬가 들어간 남방을 입었습니다. 당시 동아일보와 인터뷰를 한 다음에는 한국 지사 관계자들과 공식적인 미팅도 있었지만 캐주얼하게 옷을 입었더군요.
얼굴 표정은 참으로 풍부했습니다. 열심히 설명할 때는 두 눈을 똥그랗게 뜨는가 하면, 유머를 곁들일 때는 한없이 웃더군요. 손도 부지런히 움직였습니다. 특정 내용을 강조하면서 주먹을 불끈 쥐는가 하면, 좋은 질문이라고 말할 때는 저의 어깨를 가볍게 툭 쳤습니다.
이처럼 대부분 외국 CEO들은 ‘친구’를 대하듯 인터뷰를 합니다. 반면 한국의 CEO들은 ‘근엄한’ 인터뷰가 대부분입니다. 몸짓과 얼굴표정은 진지하기 그지없습니다.
두 스타일 모두 일장일단이 있겠지요.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두 스타일이 절충됐으면 합니다. 진지할 때는 진지하게, 때로는 유머를 곁들이기도 하고…. 그렇게 된다면 얼마나 인터뷰가 부드러워질까요.
![]() |
유머 감각이 떨어지신다고요? 그렇다면 많이 웃으세요. 분위기가 한층 밝아집니다. 초고속 승진을 거듭했던 맥킨지의 최정규 디렉터는 얼마 전 “기업이 경영난을 겪을수록 최고경영자는 웃어야 한다”고까지 말했답니다.
박형준 경제부 lovesong@donga.com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