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경제는 복합적이고 구조적인 중증(重症) 위기상황이다. 그런데도 정권의 이념적 지향은 세계적 무한경쟁 대처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정치권은 권력 이기주의에 빠져 진정한 국익을 외면하고 있다. 사회 각계도 사사건건 내 편 네 편으로 갈려 국력을 소모하고 있다.
이럴수록 우선순위가 분명하고 구체적이며 정합성(整合性)과 일관성 있는 정책을 때 놓치지 않고 추진해 국내외 신뢰를 회복하는 일이 급선무다. 이 부총리는 작년 4월 노무현 정부의 친노(親勞) 성향과 뒷북정책 및 정책의 불투명성을 강하게 비판한 바 있다. 이제는 자신이 그런 지적을 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 경제와 국익을 해치는 요인들을 없애기 위해 여야 정치권과 사회 각계를 설득하는 데 혼신의 노력을 다해야 하고, 정부 안에서는 대통령도 움직이는 ‘위를 향한’ 리더십까지 발휘해야 한다.
우선 총선을 앞두고 남발돼 온 포퓰리즘적 선심정책의 거품부터 빼야 한다. 새 경제팀이 정권의 필요에 맞추기 위해 폐해와 후유증을 뻔히 알면서도 총선용 정책을 추가하는 일은 더욱 없어야 한다. 이 부총리는 4년 전 16대 총선을 3개월 앞두고 재정경제부장관으로 취임했을 때 “2003년까지 일자리 200만개를 창출해 완전고용을 달성할 것”이라고 했지만 오늘의 현실은 과연 어떤가. 그 같은 숫자놀음은 거두어야 한다. ‘부채비율 200%’나 ‘기업간 억지 빅딜’ 같은 강압적 기업정책과 신(新)관치금융 등 자신이 김대중 정부 때 보였던 정책행태에서도 벗어나야 한다.
새 경제팀은 또 이 부총리, 김대환 노동부 장관, 강철규 공정거래위원장, 박봉흠 대통령정책실장 등이 각기 다른 컬러와 코드를 고집하면서 지난 1년간과 같은 정책혼선으로 경제의 불확실성을 키워서는 안 된다. 특히 노 대통령은 자신의 경제관에 억지로 맞추도록 새 경제팀을 몰아갈 것이 아니라 이 부총리의 정책 리더십을 최대한 후원해야 할 것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