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총리의 이 같은 상황인식이 ‘실체적 진실’인데도 나라가 이렇게 시끄러울까.
23개의 대통령직속위원회가 균형발전, 평등, 복지 등을 명분으로 쏟아내는 비현실적인 정책들 때문에 전국 곳곳이 투기장으로 변하고 있음은 정부의 조사에서도 밝혀지고 있다. 예산, 즉 국민의 피땀이 어린 세금은 한두 푼도 아니고 억, 조 단위로 줄줄 새거나 부실 운영되고 있음이 시민단체 조사와 언론 취재 등을 통해 드러나고 있다. 행담도 의혹사건과 오일게이트의 경우는 노무현 대통령과 측근들이 정상적인 시스템을 무시한 채 개입하거나 직권을 오용했음이 밝혀지고 있다. 당-정-청의 불협화음으로 부동산 대책, 자영업자 대책, 재래시장 구조조정 대책 등 정부가 내놓은 주요 정책들도 혼선을 거듭하고 있다.
시장원리를 무시한 규제 위주의 정책은 전국 땅값이 2년 사이 500조 원이나 오르고 서울 강남지역 아파트 값이 급등하는 데 기름을 부었다. 오죽하면 ‘강남 주부’들이 “아파트 값을 올려 준 노 대통령이 마음에 들기 시작했다”고 비아냥거리기까지 할까. 올해 1분기의 전 분기 대비 경제성장률은 선진국인 미국 일본보다도 현저하게 낮다. 사정이 이런데도 국정운영이 정상적이고 경제가 잘 관리되고 있다는 것인가.
이 총리의 발언이 단순한 강변(强辯)이거나 오기(傲氣)의 발로가 아닌 것처럼 보인다는 점이 더욱 우려스럽다. 문제의 해결은 현실을 정확히 인식하고 문제점을 인정할 때 가능하다. 그런 점에서 이 총리의 상황인식대로라면 국정의 총체적 난맥상에 대한 해법이 나오기 어렵지 않을까 걱정되는 것이다. 그의 상황인식이 노 대통령과의 교감의 산물이라면 나라의 장래에 대해 희망을 갖기가 더욱 힘들지 않을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