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의 판단 이전에 김 의원 자신과 열린우리당이 결단할 차례다. 김 의원이 연좌제적 징벌을 받아야 한다는 얘기가 아니다. 그동안의 경위 안에 답이 있다.
김 의원은 여러 번의 보도에 대해 의도적 비방이니, ‘김희선 죽이기’니 하면서 말 바꾸기와 거짓말로 사실 관계를 왜곡해 왔다. 그런데도 열린우리당은 김 의원을 감싸기에 바빴을 뿐 정정당당한 대응은 하지 않았다.
열린우리당은 도덕성을 ‘정권 존립의 근거’로 내세우고, 과거사 규명과 친일파 청산을 당책(黨策)으로 삼는 정당이다. 그렇다면 당의 ‘도덕성’에 먹칠을 해 온 김 의원 문제의 사실관계를 정면에서 밝혀 조치를 취해야 정상이다. 기자와 야당도 해내는 조사를 집권당이 마음만 먹으면 못할 리 없다. 그럼에도 진실에 눈감아 온 것은 겉 다르고 속 다른 정당임을 웅변하는 ‘누워서 침 뱉기’다.
김 의원이 어떤 사람인가. ‘할아버지, 아버지 대대로 독립투사였다’는 주장을 앞세워 2선 의원이 되고, 친일파 청산의 선봉장(先鋒將)처럼 행세했다. 국회 내 ‘민족정기를 세우는 의원 모임’의 회장에다 보훈처를 관장하는 국회 정무위원회 위원장 직까지 맡고 있다. 다른 정치활동은 몰라도 이런 역할은 그의 가계의 실체와 무관할 수 없다.
김 의원이 몇 차례의 해명 과정에서 앞뒤 안 맞는 말로 국민과 유권자를 우습게 여긴 점은 국회의원 자체의 자격까지 의심케 한다. 열린우리당은 ‘김희선 감싸기’로 당의 이중성(二重性)을 확연히 국민에게 각인시킬 것인지, 아니면 김 의원 문제를 상식(常識)과 정치 도의(道義) 차원에서 처리할 것인지 답을 내야 한다. 김 의원 자신은 국민의 정신건강을 더는 해치지 말았으면 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