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자 출신 영화감독 정성산(37) 씨가 북한의 요덕 정치범수용소를 소재로 한 뮤지컬 ‘요덕 스토리’의 제작에 나선 것은 그 ‘비용과 고통’을 조명하기 위해서다. 북한 주민들의 인권 참상은 외면하면서 입만 열면 민족애(民族愛)를 강조하는 사람들의 위선을 폭로하겠다는 뜻으로 읽을 수도 있겠다. 정 씨는 지난달 보수 진영 9590명이 서명한 시국선언문 발표 행사장에도 나타나 북한 인권에 대한 관심을 촉구했다.
▷정 씨는 원래 영화학도였다. 평양 연극영화대를 졸업하고 모스크바 국립영화대에 유학까지 했다. 군대에서 한국 방송을 듣다가 발각돼 사리원 정치범 수용소에 끌려간 정 씨는 간신히 탈출에 성공해 1995년 한국에 왔다. 남한에서 안 해본 일이 없을 만큼 힘들게 살았지만 영화에 대한 꿈을 버릴 수가 없어 동국대 연극영화학과에 진학했다. 그는 2002년 숙청된 아버지가 양강도 정치범 수용소에서 돌팔매질로 공개 처형됐다는 소식을 들었다.
▷정 씨의 휴대전화에는 요즘 “공연을 하면 죽이겠다” “민족의 반역자 ××” 등의 협박 메시지가 자주 뜬다고 한다. 그래도 그는 멈출 수 없다. 돌에 맞아 돌아가셨다는 아버지나, 수용소에서 함께 지냈던 사람들의 얼굴을 잊을 수가 없어서다. 정 씨가 위협에 굴복하지 않았으면 한다. ‘웰컴투 동막골’을 보며 감동했던 영화 팬이라면 내년 3월 서울 대학로에서 개막될 정 씨의 뮤지컬 ‘요덕 스토리’도 한 번쯤 보기를 권한다. 최소한의 균형감각을 갖기 원한다면.
송문홍 논설위원 songmh@donga.com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