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 교수의 발표대로 우리나라의 줄기세포 연구는 단계마다 세계 최초로 진행된다고 할 만큼 앞서 있다. 여성 연구원의 난자 제공도 올해 1월 시행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발효 이전에 이뤄졌다. ‘현재’의 법 규정과 윤리를 잣대로 황 교수의 ‘과거’ 연구에 문제가 있었다는 비판은 온당하다고 할 수 없다.
다만 지난해 5월 영국의 과학잡지 ‘네이처’에서 윤리 문제를 제기했을 때 황 교수가 사실을 알고 있으면서도 부인한 것은 잘못이다. 노성일 미즈메디병원 이사장이 공급한 난자에 대해 의구심을 갖고서도 적극적으로 확인하지 않은 점도 아쉽다. 특히 황 교수가 “연구원의 난자제공이 윤리적으로 어긋난다는 것 자체를 몰랐다”고 할 만큼 세계 생명과학계의 윤리 기준에 어두웠다는 사실은 안타까운 일이다.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게 신중히 연구해야 한다는 뼈아픈 교훈’은 생명과학뿐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 등 모든 부문으로 확대될 만하다.
미국의 줄기세포 연구자인 로버트 란자 박사는 ‘네이처’에 편지를 보내 “미국의 지나치게 엄격한 줄기세포 연구 규제 때문에 한국에 주도국 지위를 내줬다”고 지적했다. 이번 파문으로 황 교수의 연구가 위축돼서는 안 될 것이다. 정부도 난자 제공체계의 구축 등 생명과학 연구와 관련된 법과 제도를 서둘러 정비해야 한다. 황 교수팀이 다시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성원하는 것은 정부와 모든 국민의 몫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