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의 갈등과 이해관계를 국가 정체성과 국익(國益)에 맞게 조정해 중심을 잡는 것은 집권당의 기본 책무다. 그러나 지금까지 열린우리당은 그러지 못했다. 여론이나 야당의 비판은 말할 것도 없고, 당내의 온건·실용파까지 배척하는 시대착오적인 이념과잉(過剩)세력이 득세했다. 한때 당내 ‘안정적 개혁을 위한 의원 모임(안개모)’이 “국가보안법의 일방적 폐지 등 한쪽으로 치우친 당의 모습을 수평적 안정적으로 만들겠다”고 했지만 친노(親盧)세력의 ‘좌(左) 편향’에 매몰되고 만 것이 대표적 사례다.
지금도 마찬가지다. 개혁의 방향이나 속도, 당 정체성 등에 대해 ‘지켜야 할 보수적 가치’를 거론하면 “절이 싫으면 떠나라”는 공격이 쏟아진다. 대한민국 정통성을 부정한 강정구 교수에 대한 당 일각의 비판론도 ‘표현의 자유 침해’ 또는 ‘우리 사회의 낮은 수준’으로 몰렸다.
당의 이런 기류 속에서 민생경제 실용노선은 설 땅을 잃었다. 올해 두 차례 치러진 재·보선에서의 참패와 당 지지도 추락도 다수 국민의 여망과는 거리가 먼 ‘낡은 이념’의 정치가 자초한 것이다. 당내에서 주사파(主思派) 등 386 운동권 출신의 목소리가 클수록 당에 대한 국민의 실망과 혐오감도 함께 커졌다.
열린우리당은 정 의장의 ‘극좌 배격’ 발언을 당의 정책과 행동을 통해 구체적으로 가시화해야 한다. “아마추어나 게릴라부대로는 안 된다”는 정 의장의 말, 그 이후가 문제다.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